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文 생활비 13억, 특활비 많이 안 쓴 방증"
5년 소득 16억47000만원 중 70% 생활비
"사적 뿐 아니라, 일부 공적 만찬에서도 사비"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청와대가 문재인 대통령 생활비 13억 4500만원을 공개하며 "사적용도에서 특별활동비를 사용하지 않았던 방증"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의 생활비와 관련된 않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청와대가 지난 30일 2022년 정기 공직자재산공개에 맞춰 공개한 문 대통령의 5년간 소득은 16억4700만원(세후)이다. 문 대통령은 이중 70% 가까이를 생활비에 썼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통화에서 "어머니 등 가족과 동창들을 초대했을 때 사비로 만찬 비용을 지급한 것은 물론이고, 민심을 듣기 위해 초대한 사람들과의 만찬 등의 비용도 문 대통령은 사비로 지출했다"며 생활비 규모가 큰 이유를 설명했다.앞서 탁현민 의전비서관도 페이스북을 통해 문 대통령이 키우는 반려견의 사료 값에도 사비가 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공교롭게도 공직자재산공개 시점은 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 논란과 맞물렸다. 청와대는 공직자 재산공개 이틀전인 29일 김 여사의 의상은 모두 사비로 구메했고 특별활동비와는 관계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지난달 10일 서울행정법원은 김 여사의 의전비용과 특별활동비 내역을 공개하라고 판결했다. 청와대는 이에 불복 항소했다. 청와대가 해당 내역을 공개하지 않자, 일부 네티즌들은 언론보도사진을 통해 김 여사의 옷을 178벌로 추산했다. 김 여사를 업무상횡령 등으로 고발한 시민 단체도 나왔다.

문 대통령의 생활비가 공개되면서 특활비 공개 의혹은 김 여사의 사치 논란으로 번졌다. 문 대통령의 생활비가 상당 부분 김 여사의 옷 구매에 쓰이지 않았겠냐는 것이다. 제19대 대선에서 문 대통령 캠프에 합류했던 신 변호사는 이번 20대 대선에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지지를 선언했던 신평 변호사는 지난 31일 페이스북을 통해 "김 여사의 사치 논쟁은 자초한 면이 있다"며 "지나치게 많은 의상과 장신구를 국민 눈 앞에 자랑하듯 선보였고, 해외여행에서 여러 불투명한 의문을 야기해 논쟁의 단초를 제공한 것"이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 재산 공개에서 지난해보다 1억1000만 원 늘어난 21억 9000만 원을 신고했다. 임기초인 2017년(18억8018만 원)과 비교하면 3억1080만 원 늘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