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구권력이 지지율 경쟁하나…인사권· 특활비·수사지휘권 전방위 충돌
박수현 “인수위, 文尹회동에 찬물” 사과요구
김은혜 “尹 정부는, 공정·상식·순리 대로 인사”
한국갤렵 “文 지지율 42%, 尹지지율 55%”
文은 역대 최고, 尹은 역대 최저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대선 뒤 첫 회동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신구권력이 다시 부딪히고 있다. 청와대는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대표 선임을 비판한 윤석열 당선인 측에 사과를 요구했다. 윤 당선인 측은 “공정과 상식에 맞는 인사를 하겠다”며 맞받았다. 인사문제 뿐 아니라,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 특별활동비, 인사권 수사권 조정까지, 신구권력의 전방위 충돌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신구 권력간 크고 작은 갈등은 역대 정권교체기에 없었던 일은 아니지만, 문재인 정부와 윤 당선인측간의 충돌은 전례없이 심각하다. 국민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신구 권력간에 지지율 경쟁을 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윤 당선인 입장에서는 취임 후 국정운영동력 확보를 위한 지지율 제고가 절실하고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임기의 성공적인 마무리가 달려 있다. 뿐만 아니라 양측의 지지도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여야를 바꾸어 치르게 될 6월 1일 지방선거의 승패도 달려 있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TBS 라디오에 나와 전날 원일희 수석부대변인의 브리핑에 대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회동을 한 이후 좋은 분위기 속에서 서로(청와대와 인수위가) 아주 좋은 업무 인수인계를 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인데 찬물을 끼얹는 브리핑”이라며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인사와 관련 논란에 대해 “국민들께서 판단하실 것”이라며 “앞으로 펼쳐드릴 인사 방향은 상식·공정·순리라고만 말하겠다”고 했다. 대우조선해양 선임인사가 ‘상식과 공정, 순리에 맞지 않다’고 에둘러 비판 한 것이다. 전날 원 부대변인은 박두선 대표 선임을 ‘문재인 정부의 알박기 인사’로 규정한 뒤 박 대표가 문 대통령 동생의 동창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비상식적이고 몰염치한 처사”라고 했다. 원 대변인의 발언이 알려진 뒤 청와대는 신혜현 부대변인을 통해 “대우조선의 사장 자리에 인수위가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인수위의 주장에 즉각 반박했다.

지난 28일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은 “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속에서 진행됐다”고 양측 참모들은 밝힌 바 있다. 회동을 위한 실무협상을 벌이며 불거진 인사권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이 두 사람의 회동을 통해 봉합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대표 선임으로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은 다시 대치상황이 됐다.

양측의 충돌은 인사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신구권력은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와 특활비를 두고도 부딪히고 있다. 지난달 10일 법원이 “특활비 내역과 의전비용을 공개하라”고 판결한 뒤에도 특별한 입장을 내지 않았던 청와대도 적극적인 대응으로 태도를 바꿨다. 일부 네티즌들은 언론보도 사진을 모아 김 정숙여사가 지난 5년간 공개석상에서 입은 옷을 178벌이라고 추산했다. 시민단체는 김 여사를 업무상 횡령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지난 30일 신혜현 부대변인을 통해 “김 여사의 의상비는 모두 사비로 구입한 것”이라는 첫 입장을 냈다. 이후 청와대는 탁현민 의전비서관과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을 통해 연일 의혹에 대해 연일 반박하고 있다. 박 수석은 전날 브리핑을 통해 “임기 말 청와대의 특수활동비 뿐만 아니라 김정숙 여사의 옷값과 액세서리까지 거론하는 무분별한 의혹제기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1일에도 라디오에 수차례 출연해 청와대의 입장을 전했다. 여당이 된 국민의힘은 김 여사의 의상비와 특활비 공개를 압박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논평을 통해 “영부인 옷값이 무슨 국가 기밀이란 말인가. 청와대는 무엇이 두려워 감추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검경수사권 조정 등 권력기관 개혁문제를 놓고도 양측의 충돌은 이어지고 있다. 인수위는 윤 당선인의 법무부 장관의 검찰총장에 대한 수사지휘권 폐지 등의 법무 검찰공약에 대해 “검찰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 아닌 검찰의 중립을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민주당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이 후퇴되는 것으로 보고 있고 크게 반발하고 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윤 당선인의 공약인 ‘법무부 장관 수사지휘권 폐지’를 공개적으로 반대하자 인수위 법무부의 업무보고를 받지 않겠다고 맞섰다.

신구권력의 충돌의 배경에는 차기 정부의 국정운영동력 마련과 두 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염두한 ‘지지율 샅바싸움’이 깔려 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1일 공개된 한국갤럽의 3월 5주차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직무수형 긍정률)은 42%로 전주보다 2%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역대 대통령중 최고의 임기말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윤 당선인에 대한 지지율은 55%로 전주와 동일하다. 그간 대통령 당선인들의 지지율은 70%~80%대로 윤 당선인의 지지율은 역대최저다. 윤 당선인 입장에서는 지지율을 확보하지 못하면 향후 펼칠 정책들이 힘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청와대와 민주당 입장에서는 자칫하다가는 대선에 이어 지방선거 패배를 맞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청와대 참모 중 일부는 문 대통령의 퇴임 후 민주당으로 복귀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