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일 외교장관 통화 “北 ICBM 발사, 모라토리움 파기…강력 규탄”
전날 한미 외교장관 통화 “유엔 안보리 추가 조치 등 대응 긴요”
한미일 외교차관도 통화 “북한, 긴장 고조 행위 즉각 중단하라”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열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에서 발언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전날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에 이어 25일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대신과 통화를 하고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했다며 강력히 규탄했다.

한일 외교장관은 특히 북한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유예를 스스로 파기한 것임을 지적했다. 또한 발사가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 국제사회 전체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서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한이 추가적인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양측은 유엔 안보리 추가 조치를 포함하여 향후 대응조치에 대해 한일, 한미일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측은 외교의 문을 계속 열어두고 북한을 대화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정 장관은 전날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전화통화에서 안보리에서의 추가적인 조치를 포함한 단호한 대응이 긴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양 장관은 한미동맹의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한미 간 빈틈없는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양 장관은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한 우크라이나의 인도적 위기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공유하고,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단합된 공조와 연대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 했다. 또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한미일 외교차관은 25일 통화를 갖고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해 협의했다.

최종건 외교부 제1차관은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전날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북한이 국제사회에 약속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유예를 스스로 파기한 것임을 지적하고 이를 강력히 규탄했다.

또 이번 발사가 한반도와 국제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서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한이 긴장 고조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미일 외교차관은 유엔 안보리 추가 조치 등 향후 대응조치에 대해 3국 간 각급에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내 인도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데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현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공조와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silverpap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