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몽니에 예고된 안보 위기…‘용산대통령실’ 대응 어떻게?
윤 당선인, 취임 후 통의동서 집무…안보공백 우려
국가지도통신차량 이용키로…NSC 화상소집 가능 
용산 입주땐 국방부 지하벙커가 ‘안보 컨트롤타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강문규 최은지 기자]정권교체기 혼란을 노린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로 차기 정부의 안보 대응 태세가 국민들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천명한 ‘용산대통령실 이전’과 관련, 74년간 청와대를 중심으로 이뤄져왔던 북한 도발 및 재난위기 대응 체계가 어떻게 바뀌게 될지가 차기 정부 안보 정책의 관건이 됐다.

윤 당선인이 대통령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계획을 강력하게 고수하고 있지만 청와대가 이에 반대하며 예비비 편성을 거부하며 ‘용산 대통령실’은 일러야 취임 2개월 후인 7월이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당선인측은 그 때까지는 현재 당선인 집무실인 서울 통의동에서 대통령 업무를 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안보 및 재난 위기 대응은 당장 용산대통령실의 구축 이전과 이후, 대통령의 긴급 비상 대응 지휘가 어느 곳에서 이뤄질지가 중요해 졌다. 인수위에 따르면 용산대통령실 구축 이전까지는 현재의 청와대 지하벙커인 국가위기관리센터 대신 이동용 지휘소인 ‘국가지도통신차량’을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과 동시에 청와대를 개방할 경우 국방부 지하벙커를 이용해야 하는데, 이동시간을 줄여 ‘안보공백’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다. 미니버스 크기인 국가지도통신차량은 화상회의시스템, 재난안전통신망, 국가비상지휘망 등을 갖춘 시설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화상 소집할 수도 있다.

▶국가지도통신차량이 유사시 ‘안보 컨트롤타워’=25일 정치권에 따르면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소속인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전날 언론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통의동에 있는 동안 청와대를 다 개방하면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이용할 수가 없다”며 대신 국가지도통신차량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통의동 집무실에 있을 경우 (국방부 지하 벙커까지) 이동하는 소요 시간이 많이 든다.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다”며 “국방부 벙커가 리모델링으로 사용을 못 할 경우에도 이 차량을 이용해 지휘 공백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이 서초동 자택에서 출퇴근할 때도 이 차량이 항상 따라다닌다는 계획이다. 안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국가지도통신차량 안에는 통신망과 재난안전시스템 등이 모두 갖춰져 있어 화상으로 NSC까지 열 수 있어서 안보와 관련한 공백은 없다는 설명이다. 이 차량은 주로 대통령이 지방 일정을 소화할 때나 청와대 밖을 나갈 때 ‘이동 간 지휘 공백’을 만들지 않기 위해 제작됐다. 문재인 대통령 때 처음으로 도입됐다.

▶용산시대엔 국방부 지하벙커=용산으로 대통령집무실 이전이 끝나면 국가위기관리센터는 국방부 내 지하벙커에 위치할 것으로 관측된다. 윤 당선인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지하 벙커를 이용해 북한의 도발 등을 포함한 비상시 NSC를 열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당선인이 구상중인 ‘용산시대’는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와 나란히 내각 회의실, 부통령실, 비서실장실, 대변인실, 국가안보보좌관실, 프레스룸 등이 배치된 미국 백악관 집무동 ‘웨스트 윙’의 수평적 구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새 집무실 가까이에 비서실장을 비롯해 정무·공보를 맡은 비서진들의 업무 공간을 두고, 민관 합동 위원회도 같은 건물에 입주시켜 수시로 회의를 열겠다는 게 윤 당선인의 구상이라는 것이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