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생에너지 직접구매, 아마존·MS 등 글로벌기업 급증…한국 '0'건
작년 전세계 PPA, 북미 주도로 24% 증가
“비용 완화 등 국내 활성화 대책 필요”
123RF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필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 캠페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지난해 글로벌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작년 6월 PPA 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실적이 전무한 상태다. PPA가 진정한 RE100 이행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는 만큼 관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PPA는 기업과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계약을 맺고 전력을 직접 거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13일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기업 블룸버그NEF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기업들이 PPA를 통해 구매한 재생에너지 규모는 31.1GW(기가와트)로 전년(25.1GW) 대비 약 2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기업들의 PPA 규모는 2016년 4.1GW, 2017년 6.3GW, 2018년 13.6GW, 2019년 20.1GW, 2020년 25.1GW, 2021년 31.1GW로 꾸준히 늘었다. 5년 새 무려 7배 이상 성장한 것이다.

지난해 지역별 PPA 현황을 보면 미주의 규모가 20.3GW로 전 세계의 65.2%를 차지했다. 이는 아마존(6.21GW), 마이크로소프트(6.15GW), 메타(구 페이스북)(2.2GW) 등 미국 대형 기업들의 PPA 계약이 활발했기 때문이다. 이어 유럽 8.7GW, 아시아 2.0GW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보면 작년에만 약 67개의 기업이 RE100에 신규 가입하며 2050년까지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고 공표했다.

또한 이들 기업을 포함해 전 세계 355개의 RE100 선언 기업이 2030년까지 246TWh(테라와트시)에 달하는 재생에너지를 추가로 구매할 것으로 추산됐다.

블룸버그NEF는 "탈(脫)탄소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요구가 강해지자 기업들이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을 늘리고 있다"면서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약속이 확대됨에 따라 재생에너지가 민간의 탈탄소화에 유일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PPA는 기업이 재생에너지 전기를 직접 구매해 재생에너지 확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RE100 이행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PPA 이용실적이 아직 단 한 건도 없다. 국내에서는 한국전력을 거쳐야만 전력 거래가 가능한 제3자 PPA가 작년 6월부터 시행됐다. 이후 전기사업법 개정을 거쳐 직거래가 가능한 직접 PPA가 추가로 도입됐고, 이달 중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기업들은 RE100 이행 수단으로 PPA 대신 미활용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구매하거나 한전에 웃돈을 주고 재생에너지를 구매하는 방식(녹색프리미엄)을 택했다. 이는 망 이용료 부과, 수수료 지급 등으로 인해 PPA가 다른 이행 수단보다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사업자들도 REC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판매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들이 주로 REC를 판매하는 대상인 발전기업들이 비교적 높은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어 판매계약만 되면 투자 유치가 더 수월하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 기조하에 국내 기업들이 탄소 감축을 위한 노력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RE100 이행의 핵심 수단인 재생에너지 PPA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비용부담 완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