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ICBM 동향’ 尹 당선인 측과 공유 안돼…靑 “아직 요청 없어”
文대통령 “인수위 출범 전이라도 협조"
韓美 "北탄도미사일은 ICBM 시험 일환"
김정은은 ICBM 발사장 시찰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의 외교와 안보에 대해서는 대선이 끝나면 당선자 측과도 잘 협력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 주기 바란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하루 전인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당부한 말이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외에도 참모회의 등에서 당선인 측과 소통을 수차례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날 윤 후보를 만난 유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은 “인수위원회가 만들어지기 전이라도 중요한 사항에 있어서 도움을 받으셔야 하는 게 있다면 말씀을 하시라고, 거기에 대해 충분히 협조해드리라고(문 대통령이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최근 잇따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의 일환이라는 것이 확인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날 ICBM을 발사할 수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을 찾으면서, 북미관계의 레드라인인 ‘ICBM’ 시험 발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따라서 윤 당선인과 청와대의 첫 소통은 북한의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동향과 관련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 청와대는 북한의 ICBM 발사 동향을 11일 오전 현재까지 윤 당선인측과 공유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청와대는 당선인 측과 공유할 자료를 이미 준비해 놓고 있으며, 요청이 오면 바로 공유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윤 당선인과 문 대통령의 ‘핫라인’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선대위에서 활동한 한 인사는 이와관련해서 “ICBM 발사와 관련된 주요 문제는, 당선인 측의 요청이 없어도 공유돼야 한다”이라고 했다.

대북문제는 윤 당선인과 문 대통령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분야다. 윤 당선인은 안보 핵심 공약으로 '한미동맹 재건'과 '한미 연합훈련 정상화', '확장억제 강화로 힘에 의한 북한 핵·미사일 능력 무력화' 등을 약속했다. 반면 문 대통령은 강한 국방력를 강조하면서도 방점은 ‘대화’에 찍힌 메시지를 내왔다.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문 대통령이 지난 5년간 공을 들였던 한반도평화프로세스(종전선언→평화협정 체결→항구적 평화체제)가 폐기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대북 문제를 놓고 청와대와 당선인측 간의 협의가 충분하지 않다면 양측의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당선인 측과 청와대가 대북문제를 놓고 다른 메시지를 낼 수 있다는 얘기다. 윤 당선인 측인 아날 오전 현재까지 북한의 ICBM 시험에 관한 메시지를 내지 않고 있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오전 “북한이 지난 2월 27일과 이달 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한미의 정밀 분석 결과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일 열병식 계기 북한이 최초 공개하고 개발중인 신형 ICBM 체계와 관련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