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석열 당선] “해묵은 반일 선동 안돼”…日언론은 관계 개선 기대감
尹당선인, ‘김대중 오부치 선언 2.0 시대’ 제시
韓日, 셔틀정상외교 복원·고위급 협의채널 가동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 20대 대통령선거 개표상황실'을 찾아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은 그동안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수차례 밝혀왔다. 특히 그는 3·1절 특별성명을 통해 “해묵은 반일 선동만으로는 국제사회의 거대한 변화에 맞설 수 없다”며 반일(反日), 배일(排日)이 아닌 극일(克日)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극일은 ‘일본을 넘어선다’는 의미다.

윤 당선인은 공약집을 통해 ‘한일 김대중 오부치 선언 2.0 시대(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를 복원하고 고위급 협의 채널을 가동해 위안부 문제,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 수출 규제 등 한일 갈등 현안의 포괄적 해결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양국 정상이 수시로 상대국을 오가며 소통을 확대하자는 취지로 마련된 한일정상 간 셔틀 외교는 10년째 가동되지 않고 있다.

한일관계는 2019년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반발한 일본의 수출금지조치로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7월 도쿄올림픽 계기 한일정상회담 등을 통해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결실을 보지 못했다. 기시다 후미오 내각이 새로 들어선 뒤에도 역사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입장은 좁혀지지 못했다. 결국 악화된 한일관계는 ‘윤석열 정부’가 해결해야 될 숙제가 됐다.

윤석열 정부는 한일역사 문제와 관련해서는 문재인 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공약집을 보면, 윤 후보는 ‘한일 관계가 과거사 이슈에 매몰된 채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적 노력없이 악화일로 지속’, ‘과거사에 발목이 묶여 미래세대를 위한 한일관계 업그레이드에 소홀’ 등으로 상황을 진단하고 있다.

일본 언론은 대선결과를 신속하게 보도하며 일본 내 한일관계 개선 기대감을 전했다. 교도통신은 “한일관계 개선 가능성이 크다고 기대하는 견해도 있다”고 보도했다. 또 윤 당선인이 대선 TV토론에서 “대통령에 취임하면 바로 한일관계 개선에 나서겠다”면서 취임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 이어 기시다 총리를 만나겠다는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다. 윤 당선인은 당시 토론에서 “한미관계와 한일관계가 너무 많이 무너져서 정상적 회복을 하는 게 우선이라 생각한다”며 미국·일본·중국·북한 순으로 정상외교를 하겠다고 했다. TV토론에 함께 출연한 다른 후보들은 정상외교 순서를 묻는 질문에 일본을 마지막 순으로 꼽거나,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았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