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숨고르기 금리동결, 물가쇼크 금융정상화 잊지 말아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4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1.25%로 동결하기로 했다.

시장의 예측도 동결이 대세였다. 대선을 앞둔 시점,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가 다음달 끝난다는 점 등도 이유로 거론됐지만 본질과는 거리가 있다. 지난해 11월과 올 1월 이미 두 차례나 액셀을 밟은 마당에 세 차례 연속 인상은 부담스러웠다는 점이 중요하다. 금통위 역사상 그런 고속주행은 없었다. 지난해 8월까지 포함, 세 차례 인상만으로도 시장 실세 금리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기준금리는 아기 걸음으로 올렸는데 대출금리 상승은 성인 뜀박질 수준이다. 가계와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은 커졌다. 증시와 부동산 등 자산시장은 완연한 하락세다. 선제 대응의 취지와 효과는 역력했다. 이제 한 차례 숨고르기도 필요한 시점이란 얘기다. 그게 질서 있는 정상화 과정이다.

게다가 경제 상황도 ‘잠깐 멈춤’을 요구한다. 연일 사상 최대 확진자 기록을 경신하는 오미크론 팬데믹과 일촉즉발의 우크라이나 사태는 적지 않은 불안 요인이다. 회복 기미를 보이는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그러나 잠시 휴지기를 가진다고 금융정상화 과정에 변화가 생긴 것은 아니다. 비록 소수라 해도 2월 금리 인상을 주장한 금통위원들도 있을 것이다. 증가 속도는 줄었다지만 1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대출과 추경 등 재정 확대 추세로 시중에 돈은 여전히 넘쳐난다. 오죽하면 한은이 과도하게 풀린 돈을 거둬들이고 시장금리 상승을 막으려 2조원 규모의 국고채 단순 매입을 단행했을 정도다.

여기에다 몇 달째 3%를 넘어간 소비자물가는 아직도 용수철을 매단 형상이다. 미 연준(Fed)의 금리 인상 페달도 3월이면 돌아간다. 핫머니의 유출을 막으려면 한·미 간 금리 격차는 유지돼야 한다.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은 거부할 수 없는 수순이다. 시장의 공감대는 연말 목표 수준 1.75~2.0%다. 이주열 총재도 “기준금리 1.5%도 긴축으로 볼 수 없는, 완화적 수준”이라고 했다.

한국은행이 이날 내놓은 수정 경제 전망은 이 같은 예측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 발표한 2.0%에서 3.1%까지 큰 폭으로 올려잡았다. 인플레 파이팅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상황이다.

예상된 시나리오는 이미 오래전에 던져졌다. 달라지는 건 없다. 적응은 경제 주체들의 몫이다. 금융 당국의 역할은 충격 완화에 그친다. 개인과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 저금리 금단 현상을 스스로 극복해야 한다. 위험자산과 부채 줄이기가 대응의 기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