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농식품부, 오미크론 확진자 폭증 대비 먹거리 공급망 점검
비상시 물량분산·추가인력 투입
민·관 합동 점검회의…업무연속성계획 수립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농림축산식품부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에서도 국민 먹거리 공급망을 차질없이 가동하기 위한 농식품 분야 업무연속성계획(BCP)을 수립했다고 23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BCP를 점검하기 위한 민·관 합동 추진단 회의를 오는 24일 개최한다. 이 회의에는 농식품부 담당 부서, 가락농수산종합도매시장, 축산물처리협회, CJ대한통운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농식품부는 도매시장과 도축장 등 먹거리 핵심 시설의 확진자 수, 거래 물량, 시설 정상 가동 여부를 정밀 감시하는 것은 물론 위기 상황 발생 시에도 농식품 공급망을 차질없이 유지할 방침이다.

농식품부의 위기대응 단계 판단기준에 따르면 현재는 '관심' 단계로 주 1회 모니터링을 시행한다.

필수인력의 집단 감염이 이어지는 '주의' 단계에서는 내부인력을 재배치하는 비상근무 체계로 전환한다. 물류 차질이 본격화하는 '경계'와 '심각' 단계부터는 핵심시설의 물량을 분산하고 필수인력과 운송자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가락시장 등 수도권의 주요 도매시장이 폐쇄되면 강서, 구리 등 인근의 도매시장과 산지 공판장으로 채소류 거래물량을 분산할 계획이다.

축산물의 경우 모든 물량이 거치게 되는 도축장을 집중해서 관리한다. 도축장 폐쇄 시 농협의 4대 공판장과 민간의 대형 도축장을 중심으로 처리 물량을 분산한다.

농식품부는 대민(對民) 행정업무도 중단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가축질병 방역을 위해 농장 점검 업무에 민간 수의사 902명을, 현장 이동통제에 지자체 예비인력 1천60명을 각각 투입한다.

박순연 농식품부 정책기획관은 "민간과 긴밀하게 협력해 위기 상황에서도 농식품 공급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