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베이징올림픽 메달 포상금 실지급액 伊32억원 최다…한국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최민정이 17일 오후 중국 베이징 메달 플라자에서 열린 메달 수여식에서 메달리스트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탈리아의 아리아나 폰타나(은메달), 최민정(금메달), 네덜란드의 쉬자너 스휠팅(동메달). [연합]

[헤럴드경제=박승원 기자] 지난 20일 끝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많은 나라가 자국의 메달리스트들에게 지급한 정부 포상금은 얼마일까.

이번 대회 메달 포상금으로 가장 많은 돈을 쓴 나라는 이탈리아로 32억원을 지급했다.

23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이번 대회 출전했던 나라들의 올림픽 메달 포상금 실지급 액수를 계산해 보도했다.

우선 우리나라는 이번 대회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따냈는데 금메달을 딸 경우 정부포상금은 6300만원이다. 이 가운데 은메달 2개는 단체전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총 5억1725만원이 정부 포상금으로 지급된다.

이탈리아는 이번 대회 개인전 금메달을 따낸 선수에게 20만 1000달러(약 2억4000만원)를 주기로 했는데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7개, 동메달 8개를 따내 이번 대회 메달 포상금으로 가장 많은 271만7000 달러(약 32억원)에 달하는 돈을 썼다.

이탈리아 다음으로는 미국이 156만8000 달러(약 18억6000만원)를 포상금으로 선수들에게 나눠줬다.

미국의 금메달 포상금은 3만7500 달러로 이탈리아보다 훨씬 적지만 메달 수가 금메달 8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7개로 많아 이탈리아에 이어 2위에 올랐다.

뒤이어 프랑스(88만3000 달러), 캐나다(84만2000 달러), 독일(82만2000 달러) 순으로 세 나라 모두 10억원 안팎이다.

일본은 금메달 500만엔, 은메달 200만엔, 동메달 100만엔 순으로 지급하며 단체전도 개인전과 같은 액수를 준다.

이번 대회 금메달 3개, 은메달 6개, 동메달 9개를 따낸 일본은 개인전 포상금 3000만엔, 단체전 포상금 2800만엔 등 총 5800만엔(약 6억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포상금이 아예 없거나 지급되지 않은 나라도 있다.

금메달 16개로 역대 동계올림픽 사상 최다 금메달 기록을 세운 메달 순위 1위 노르웨이는 별도 메달 포상금이 없다.

싱가포르는 금메달리스트에게 73만7000 달러(한화 8억8000만원)의 포상금을 약속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해 실제로 지급된 포상금은 없다.

막대한 메달 포상금을 내걸었던 터키, 말레이시아 역시 이번 대회 메달을 따지 못해 포상금 지급이 이뤄지지 않았다.

포브스는 반면 “개최국 중국과 러시아올림픽위원회의 경우 메달 포상금과 관련한 질의에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pow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