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생활서비스·공공임대시설 확충…서울 구도심 역세권 활성화 급물살
공릉·둔촌동 등 1월기준 20곳 사업 추진
“소수거점 집중 지원·규제 완화 필요”

‘컴팩트시티’는 최근 서울 구도심 개발에 가장 핵심적인 방향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6월 개정한 ‘역세권 활성화사업 운영기준’이 대표적이다. 이 기준 1장 1절 운영목적에 따르면 ‘컴팩트시티의 도시공간구조를 지향하기 위해’ 만들었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역세권 활성화 사업은 지자체 등에서 요청한 역세권 대상 부지의 용도지역을 상향(일반주거→상업지역 등)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어린이집, 보건소, 체육시설 등)과 공공임대시설(오피스, 주택)을 확충하는 것이다. 역세권을 고밀 개발해 직주근접 콤팩트시티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역세권은 지하철, 국철, 경전철 등의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250m 이내 가로(블록)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을 말한다. 이들 대상지에서 ‘도로 여건’, ‘필지 규모’, ‘노후도’ 등 3개 조건을 만족하는 곳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25개 지자체 등의 요청을 받아 올 1월 기준 20곳에서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중 공릉동(공릉역), 동교동(홍대입구역), 둔촌동(둔촌역), 신대방동(보라매역), 대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 신림동(서울대벤처타운역) 등은 지구단위구역 변경안이 통과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계획에 따르면 이들 지역엔 용적률 상향으로 주택이 수백가구 규모로 새로 지어지고(홍대입구역 주변 550가구, 공릉역 주변 392가구, 방학역 주변 275가구, 보라매역 주변 232가구 등), 공공임대주택, 공공임대산업시설, 체육시설, 보건소 등이 지역에 필요한 공공시설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이들 지역에 들어서는 공공임대주택 크기를 전용면적 59㎡에서 최대 85㎡까지 확대해 청년 1인가구는 물론, 3~4인가구, 중장년 가구 등도 들어가 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대상지역의 대부분을 비강남지역에 집중해 지역 불균형 문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와 별도로 2019년 12월 도로 위, 차고지, 빗물펌프장 등을 개발하는 ‘컴팩트시티’ 사업을 발표해 현재까지 추진하고 있다.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사업인 신내4지구, 빗물펌프장(연희, 증산), 공영차고지(강일, 장지) 등이 대표적이다. SH공사에 따르면 서울 북부간선도로(신내IC~중랑IC) 위 신내4지구에는 축구장 네 배 크기(2만7000㎡)의 인공부지로 주택 990가구는 물론 도서관과 문화시설 등이 지어진다.

‘연희?증산 공공주택 복합시설’은 경의선숲길이 끝나는 연희동 일대 교통섬 유휴부지(4887㎡)와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앞 증산빗물펌프장 상부를 포함한 부지(6746㎡)를 고밀 개발하는 사업이다. 공유주택, 1인주택 같은 ‘청년주택’이 총 320가구(474명) 입주 규모로 지어지고, 청년창업지원공간, 청년식당 등 ‘청년지원시설’과 수영장, 피트니스, 도서관 같은 생활편의시설이 조성된다.

낙후된 버스차고지를 활용해 주택을 짓는 송파구 장지 버스공영차고지(2만5443㎡)와 강동구 강일 버스공영차고지(3만3855㎡)도 주목받는다. 청년과 신혼부부가 입주할 수 있는 공공주택 총 1805가구(장지 840가구, 강일 965가구)와 생활편의시설, 공원이 어우러진 청년 신혼부부 주거타운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

권규상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금처럼 동별 쇠퇴기준을 충족한 지역에 추진하기보다 실제 사업이 필요한 곳에 지원할 수 있도록 쇠퇴 기준을 완화하고, 소수의 거점에 기능을 집약해 재정을 지원하고 도시계획적으로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일한 기자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