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이유도 모자라 올림픽까지 이용?” 중국의 ‘한복 우기기’ 지겨울 정도
중국 모바일 게임 ‘황제라 칭하라’(왼쪽). 아이유가 드라마에서 입었던 의상과 흡사한 한복을 캐릭터에 입혀 논란이 인 바 있다. [트위터 캡처]
베이징 동계올림픽 2022 개막식에 한복 차림 여성이 등장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아이유 한복도, 김유정 한복도 중국 것이라고 우기더니 전 세계 다 보는 올림픽까지 이용?”

한복이 자국 문화 유산이라고 주장하는 중국 행태가 극에 달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각종 중국 게임 속 캐릭터에 한복을 입혀 교묘하게 중국 문화인 것처럼 표현하고, 국내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복이 중국 것을 표절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는 지구촌 축제 올림픽마저 중국의 ‘한복 왜곡’ 수단이 됐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4일 오후 8시(현지시간) 중국 국가체육장에서 열린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전달하는 장면 중 중계 카메라에 한복 차림 여성이 포착됐다. 이 여성은 흰색 저고리에 분홍색 치마를 입고 댕기머리를 한 채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 역할로 등장했다. 중국 사회 각계 대표, 훈장이나 명예 칭호 수여자와 56개 민족 대표 등이 참여하는 순간이었다.

지난해 베이징 동계올림픽 홍보 영상에서도 한복과 상모돌리기가 등장해 ‘문화공정’ 논란을 빚은 데 이어 이번 개막식에서까지 한복을 대놓고 홍보해 더욱 공분을 샀다. 특히 주무 부처인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복을 입고 이날 참석해 정치권 비난의 대상이 됐다.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입장식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

이재명 대선 후보는 페이스북에 “문화를 탐하지 말라. 문화공정 반대”는 게시물을 올렸고,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을 맡은 이소영 의원은 “실리외교를 추구하는 것 못지않게 우리 문화를 지키는 일도 중요하다”며 “이 문제를 그대로 방치해서 우리 국민의 반중 정서가 날로 강해진다면, 앞으로 중국과의 외교를 펼쳐 나갈 때에도 커다란 장애물이 될 것이다. 실리외교를 위해서라도 할 말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황규환 선대본부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주권국가에 대한 명백한 문화침탈”이라며 “대체 대한민국을 얼마나 우습게 알면 전 세계인들이 지켜보는 올림픽 개막식에서 문화공정을 보란 듯이 펼쳐 보일 수 있는가”라고 개탄했다.

앞서도 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은 계속 이어진 가운데 게임을 통한 한복 공정이 끊이질 않았다. 모바일게임 ‘황제라 칭하라’에 등장하는 청나라 의복이 가수 아이유가 출연한 드라마 속 한복과 똑같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 게임은 중국 게임사가 2018년 국내 출시한 모바일게임으로, 청나라를 배경으로 진행된다. 이때 청나라 여성 캐릭터의 의복이 드라마 ‘달의 연인’(2016년 작) 속 아이유가 입은 한복을 베꼈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는 고려 황실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실제 여성 캐릭터와 아이유가 입은 복장이 흡사해 네티즌 사이에서 강한 의혹을 받았다.

중국인들이 국내 드라마 속 한복이 자국을 표절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홍천기 공식 홈페이지 캡처]

또 다른 중국 모바일게임 ‘후궁의 법칙’ 속에 등장하는 청나라 의복도 한복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여주인공이 청나라 황실서 입은 복장이 한복이라는 것이다. 이 밖에도 ‘궁 3D’ ‘황제의 꿈’ 등 중국을 배경으로 전개되는 게임 속 의복이 한복이라는 지적이 반복됐다.

SBS 사극 드라마 ‘홍천기’에 등장하는 한복 등을 놓고 중국의 일방적 주장도 도마에 오른 바 있다. 극 중 주인공(김유정)의 한복 등이 명나라 의복을 표절한 것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와 함께 샤오미는 테마(배경화면) 스토어에 한복을 중국 문화로 묘사한 이미지를 올려 뭇매를 맞았다. 해당 이미지는 한복을 입은 남녀의 모습을 스마트폰 배경화면용으로 제작한 것이다. 해당 이미지가 ‘중국 문화(China Culture)’라는 제목으로 업로드돼 국내 누리꾼 사이에서 맹비난이 일었다. 이에 샤오미는 “혼란을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공식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는 백과사전 페이지에 “한복은 ‘한푸(중국의 전통의상)’에서 기원했다”, “조선족 복식은 중국 조선족의 전통 민속으로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재 중 하나” 등으로 소개하고 있다.

과거 샤오미 배경화면(테마) 스토어에 올라왔던 수정 전 이미지. 한복을 입은 남녀의 모습과 ‘중국 문화(China Culture)’라는 문구로 비난이 일자 샤오미가 정식 사과했다. [온라인커뮤니티 클리앙 등 캡처]

이처럼 계속되는 한복 공정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5일 SNS를 통해 “우려했던 부분이 또 터지고 말았다. 세계에 더 널리 진실을 알리자”고 호소했다. 서 교수는 “중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을 대표하기 위해 (한복을) 등장시켰다고 하더라도, (중국은) 이미 너무 많은 한복 공정을 지금까지 펼쳐왔다”며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에 당당히 맞서 무엇이 잘못됐는지 정확히 짚어주고, 세계인들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더 널리 소개할 좋은 기회로 삼아야만 할 것”이라고 밝혔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