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쌓이는 물가상승 압력, 3%방어도 버겁다
소비자물가 초비상
소비·생산자 물가차 1년새 5.3%P↑
우크라이나 사태로 공급망 차질
고환율에 추경 유동성까지 겹쳐
물가상승 장기화…가격동결 한계

소비자물가가 생산자물가보다 5.3%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대 고물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추가 인플레 압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사태와 고환율,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까지 겹치면서 물가 불안이 심화할 가능성이 많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는 생산자물가보다 5.3%포인트 낮았다. 지난해 1월엔 두 물가지수가 0.9%로 같았지만, 지난해 지속적으로 격차를 확대했다. 11월엔 6%포인트 차이를 나타내기도 했다. 올해 1월에도 소비자물가는 3.6%를 나타내 비슷한 격차를 보일 전망이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로 옮겨가는 형태를 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결국 소비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다. 그러나 정부가 전이를 인위적으로 막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생산자물가는 9%대를 유지했지만, 소비자물가가 3%대를 지켰다. 기획재정부는 유류세를 인하했고, ‘설 민생안정대책’에 따라 성수품도 역대 최고 수준인 20만4000톤 규모로 공급 확대했다. 지방자치단체에는 공공요금 동결령을 내렸고, 업계에도 1월 가격인상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문제는 오히려 악화되는 공급망 차질·고환율 기조 등으로 물가상승세가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급망 차질은 원자재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2022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휘발유가격은 전년동월대비 12.8%, 경유는 16.5% 상승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공급망 문제는 더 심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여기에 원화가치 하락도 간접적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달러표시 자산인 유가 등 가격을 실질적으로 밀어 올리고 있다. 전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달러당 1206.4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7일부터 3거래일 연속 1200원 선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 추경 편성도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당정은 14조원에 달하는 추경을 적자국채로 편성해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나눠준다. 직접 유동성 공급 확대다. 이는 국회 심의과정에서 35조원으로 불어날 가능성도 있다.

물가상승세가 장기화하면 지자체와 업계에 언제까지 고통감내를 강요할 수 없다. 공급확대도 보유물량이라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 유류세 인하는 세수감소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인위적인 물가억제 정책이 통하지 않게 되는 순간 물가상승은 더 거세고 강하게 돌아올 수 있다.

실제로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내년 4월과 5월에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을 각각 인상하기로 했다. 지난해 기재부가 요금인상은 없다고 했지만, 1년이 채 가지 못했다. 원가가 뛰는 상황에서 요금 동결이 불러오는 재무 상태 악화를 버티기 어렵기 때문이다. 유류세 인하도 4월말 종료된다. 다만, 이는 연장을 검토한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3%대로 상승한 것은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있었던 18개월 연속 상승 이후 처음”이라며 “국제에너지가격 상승이나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대외공급 측면 상승요인이 컸던 것으로 보고, 지금 대외 요인이 그닥 완화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