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中·北 미사일 위협 빌미 美 중거리 미사일 배치 저울질”
주미日대사 “진행중인 국가안보전략 검토 결과에 달려”
[AF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일본이 중국과 북한의 위협을 빌미로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을 자국에 배치할 가능성의 문을 닫지 않고 있다고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도미타 코지 미국 주재 일본 대사는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일본 지도자들이 일본 영토에 중국과 북한을 타격할 수 있는 지상 기반 탄도 미사일이나 순항 미사일을 배치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도미타 대사는 일본이 아직 이 방안에 개방적인 것도, 저항하는 것도 아니라면서 일본이 진행 중인 국가안전보장전략의 검토 결과에 달려 있다는 식으로 언급했다.

그는 또 “우리는 진전을 이루며 미국 친구들과 관여하길 고대한다”며 “우리는 안보 환경이 점점 힘들어지는 것을 보고 있다. 안보 환경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현재 원거리 정밀 타격수단 보유를 의미하는 ‘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 등 안보 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는 중국과 북한의 위협을 억제할 수단이 될 수 있다.

미국은 최근까지만 해도 러시아와 맺은 중거리핵전력(INF) 조약으로 인해 중거리 미사일 개발이 지체됐다.

냉전이 한창이던 1987년 12월 미국과 소련 간 체결한 INF 조약은 1991년 6월까지 사거리 500∼5500㎞의 중·단거리 미사일 2692기를 없애고, 이후에도 양국의 미사일 개발 경쟁을 억제하는 기능을 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9년 러시아가 이 조약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명분을 들어 이 조약에서 탈퇴해 중거리 미사일 개발의 족쇄를 풀어버렸다.

미국의 탈퇴 결정에는 조약 가입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아무런 제약 없이 중거리 미사일을 개발해온 중국을 견제하려는 차원이라는 해석도 있었다.

INF 조약 탈퇴 후 관심사 중 하나는 미국이 해외에 중거리 미사일을 배치할 경우 어느 나라가 될 것이냐 하는 점이었다.

마크 에스퍼 당시 미 국방장관은 특정 국가를 지목하지 않은 채 아시아에 배치하고 싶다는 뜻을 공개 표명했고, 중국은 미국이 미사일 배치를 강행하면 대응 조치를 하겠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외신에서는 미국의 아시아 우방인 일본, 한국, 호주가 주요 후보지라는 보도가 잇따랐다.

당시 한국은 미국과 공식 논의를 하거나 자체적으로 검토한 바도, 계획도 없다고 밝혔고, 호주도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 역시 미국에서 제안받은 게 없다고 밝혔지만, 도미타 대사의 이번 인터뷰는 일본 배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과 갈등이 점점 깊어지고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 고도화하는 등 안보 환경이 변한 데다 기시다 총리가 ‘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를 강력하게 추진하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장 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는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 전쟁을 포기하고 전력을 보유하지 않는다고 규정한 일본 헌법 제9조에 기반을 둔 전수방위(專守防衛·공격을 받을 때만 방위력 행사 가능) 원칙에 배치된다는 지적을 받는다.

또 중거리 미사일의 일본 배치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설 것이 분명해 논의 과정은 물론 배치 결론이 나더라도 극심한 갈등을 겪을 수 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