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릉 방파제서 3m 심해어 산갈치 포획…지진 전조증상?
강릉서 잡힌 크기가 3m에 달하는 심해어. [연합]

[헤럴드경제=민성기 기자] 강원도 강릉시의 한 방파제에서 한 낚시꾼이 심해어인 산갈치를 낚았다.

지난 8일 오후 강원 강릉시 옥계면 금진항 방파제에서 낚시 중이던 윤모(30·서울)씨는 길이 3m 크기의 산갈치 한 마리를 잡았다. 산갈치는 물밖에서 3시간 가량 살아있다가 죽었다.

윤씨는 "낚싯대를 드리우고 한참 후에 다시 끌어올리다 보니 수초 더미 같은 게 달려 있어 자세히 보니 살아있는 산갈치였다"며 "너무 무거워 낚싯줄을 끌어 올릴 수 없을 정도였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그는 산갈치가 귀중한 자료라 관련 연구기관에 기증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산갈치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태평양과 인도양 등에 서식하는 심해어류다. 갈치와 비슷하고 심하게 옆으로 납작하며, 띠 모양으로 길다.

수심 200~1000m 사이에 서식하는 몸길이 최고 17m에 이르는 심해어이지만 먹이인 크릴을 찾아 해수면 근처까지 오면서 연안에 모습을 드러내는 사례가 드물게 있다고 한다.

비슷한 형태의 투라치와 함께 파도에 밀려 나와 해안에서 간혹 발견되기도 한다.

일본에선 산갈치가 지진이나 쓰나미(지진해일)가 임박했다는 점을 사람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용왕이 보냈다는 미신이 있다. 산갈치는 일본에서 '용궁의 사자'라는 뜻의 '류구노쓰카이'로 불린다.

일본의 일부 네티즌은 지난 2010년 일본 북부 해안가에서 이런 산갈치 10여 마리가 발견된 뒤 이듬해인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진 전조증상과 이들 동물 출현 사이 상관관계가 없다고 설명한다.

지난 2019년 일본 도카이대와 시즈오카현립대 공동연구진이 미국 학회지에 발표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1992년부터 2011년까지 20년간 일본 근해에서 산갈치 등 심해어가 목격된 뒤 한 달 이내 지진 발생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일치하는 경우는 8%에 불과했다.

min365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