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베이징 올림픽 불참 공식화…文 '평화올림픽 구상' 사실상 무산
조선중앙통신 "경기대회 불참, 中 지지"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북한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올림픽을 한반도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의 계기로 삼으려던 문재인 대통령의 구상이 사실상 무산됐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와 체육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와 베이징 2022년 겨울철올림픽경기대회 및 겨울철장애자올림픽경기대회조직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체육총국에 편지를 보내었다”고 전했다. 이어 “편지는 적대 세력들의 책동과 세계적인 대류행전염병 상황으로 하여 경기대회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지만 우리는 성대하고 훌륭한 올림픽 축제를 마련하려는 중국 동지들의 모든 사업을 전적으로 지지, 응원할 것이라고 (했다)”고 했다.

북한의 베이징 동계 올림픽 불참은 지난 9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징계결정에 따른 것이다. IOC는 도쿄올림픽 불참을 이유로 북한 올림픽위원회(NOC)의 자격을 1년간 정지하는 징계를 내렸다

IOC의 결정으로 문 대통령의 구상에 제동이 걸린 상황에서도 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버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IOC와 중국, 북한 등의 협의에 따라 IOC의 협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북한 선수단이 중국에 참석할 여지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정부 당국자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정부 합동 업무보고 후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과 관련한 질문에 “우리 정부로서는 직전에 평창올림픽에서 올림픽을 통한 세계 평화를 이끌어내는 선순환 경험을 했다. 직전 올림픽 개최국의 역할도 할 필요 있다고 본다”며 ”IOC와 북한, 중국의 협의 결과를 보면서 추가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눈여겨 주시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IOC의 결정에 번복이 없음이 확인된 것이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 지난 2019년 평창올림픽때 중국에서는 시 주석이 아닌 고위급이 인사가 참석 한데 다, 미국, 호주 등 주요 동맹국이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베이징 올림픽에 참석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정부가 그간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만큼 정부 고위급 인사는 파견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동계 올림픽 불참으로 정부는 1월말이 유력한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화상정상회담에 집중할 전망이다. 그간 정부는 김 위원장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을 막판 변수로 두고 한중 화상정상회담을 진행해왔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