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신 전도사’ 천은미 “나는 미접종...의사 관둘 생각까지”
[YTN 캡쳐]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언론에 출연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적극 권장했던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정작 자신은 ‘미접종자’임을 밝혀 논란이 커지자 직접 해명에 나섰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3일 저녁 YTN ‘뉴스큐’에 출연해 “저는 항생제 대부분에 알러지를 갖고 있었고, 신종플루 유행 당시 몸이 안 좋은 상태에서 백신 접종을 한 이후 흉통이나 호흡곤란처럼 심각한 부작용으로 면역 상태가 많이 저하된 상태였다”며 “그 이후에는 (다른) 백신 접종을 하지 못했었고, 그러다 이번에 백신 접종을 했다”고 밝혔다.

천 교수는 “1차 접종을 맞기 전까지 정말로 많은 고민을 했었다. 코로나 환자를 보는 입장이고, 또 시청자 분께 정보를 주는 입장에서 어떤 부작용이 오더라도 이걸 꼭 맞아야 하지 않나, 솔직히 목숨을 건다는 느낌(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자신이 겪은 백신 부작용을 털어놨다. 그는 “접종 후 3일 정도가 지나면서, 어지러움과 반점, 시력 저하를 겪었고, 멍이 수시로 들었다. 저림 증상 때문에 운동을 할 수 없는 그런 부작용들이 단기간이 아니라 상당 기간 나타났다”고 말했다. 아울러 낮았던 백혈구가 더 떨어졌었다고 밝혔다. 백신 접종 우려 때문에 의사를 그만둘까라는 생각까지 했다고 털어났다.

그는 “나는 환자가 극심한 백신 부작용을 호소하고, 의사가 이를 인정해 소견서를 쓰면 방역패스 예외를 인정해줘야 한다고 주장해왔다”면서 “방송에서 백신 1차밖에 맞지 않았다고 반복해서 말한 것은 정부가 나같은 사람(특수 체질)을 위해 (방역패스 규정에 있어서) 과학적인 기준을 마련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였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천 교수는 “어느 장소가 위험하고 안전한가에 대한 정부의 기준이 과학적이지 않다. 추가 접종을 강조하지만 목숨걸고 맞아도 효과가 오래가는 것도 아니고 3개월이면 떨어진다”면서 “고령층 등 면역력이 떨어진 취약계층은 맞아야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대응에는 억지로 3차를 맞게 하는 게 아니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천 교수는 지난달 31일 YTN 뉴스라이브에 나와 “백신패스를 적용하는 곳에 형평성이 필요하다”며 “저는 사실 건강상 이유로 1차 접종밖에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온라인에 돌아 다니는 천 교수가 접종을 강조한 지난해 3월 정부 홍보물 영상과 관련해 “나는 찍은 적이 없다”며 “해당 영상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hanir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