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강화·완화에 따른 지표 출렁임, 예전보다 줄어드는 추세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사적모임 인원을 4인으로 제한하고 식당·카페의 영업시간을 오후 9시까지로 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16일까지 2주간 연장키로 하면서 새해 경기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역 재강화 조치가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지만, 거리두기 강화 또는 완화에 따른 경기 지표의 변동 폭이 예전보다는 줄어드는 추세도 보인다.
2일 국가통계포털 등에 따르면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이 시행됐던 지난해 11월 한 달간 지표 개선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서비스업 생산이 전월보다 2.0% 증가하긴 했지만 소비는 1.9% 감소해 2020년 7월(-6.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지난해 10월 소비가 좋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단계적 일상 회복에도 소비가 크게 늘지 않은 셈이다.
지난해 11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55만3000명 늘었지만, 증가 폭이 10월(65만2000명)보다 축소됐다. 특히 코로나19의 대표적 피해 업종인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지난해 9월(3만9000명)과 10월(2만2000명)의 증가세에서 11월에는 오히려 8만6000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단계적 일상 회복 시행 후 방역 완화 등으로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음식점과 주점을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1년 전보다 13.6% 늘었으나 11월 말부터는 소비 관련 속보 지표 증가 추세가 멈췄고 12월 초에는 감소로 돌아섰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위드 코로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11월에는 소비와 고용이 늘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며 "예상했던 것만큼 지난해 4분기 경기가 좋지는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짧게나마 시도했던 단계적 일상 회복이 눈에 띄는 경기 개선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다시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경기 악화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다만 단계적 일상 회복에도 소비와 고용 등이 많이 늘어나지 않았듯이, 방역 재강화에도 지표 타격은 예전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코로나19 위기가 길어지고 방역 강화와 완화가 반복되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학습효과'가 생기면서 방역 조치 변경에 따른 개별 경제주체들의 반응도가 예전보다는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매판매액 지수의 경우 코로나19가 첫 확산기인 2020년 2월에는 전월보다 6.5% 감소했고 2차 확산기인 7월에도 6.1% 줄었으나 이후에는 감소 폭이 1% 안팎으로 축소됐다.
취업자 수도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월과 비교하면 2020년 3월과 4월에는 각각 67만6000명, 28만1000명이 줄고 그해 9월에도 10만3000명이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 2월부터는 몇 차례 재확산과 방역 강화에도 불구하고 매달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경기 지표가 출렁이는 폭이 예전보다는 줄었다고 해도 대면서비스업 등 피해 업종과 피해 계층이 받는 고통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계절조정 취업자가 2월 이후 10개월 연속 늘어나는 가운데서도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5월(-2만5000명), 7월(-4만1000명), 10월(-5000명), 11월(-5만6000명) 등 고비마다 감소했다.
이번에도 소상공인에겐 '대목'인 연말연시에 방역 조치가 재강화되면서 피해는 커지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의 데이터포털에 따르면 전국 소상공인 전주 대비 주간 매출은 지난해 12월 둘째 주(-4.7%)와 셋째 주(-4.3%)에 계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재정 투입 등으로 지표 자체는 나쁘지 않게 관리되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고 보기엔 어렵고 소상공인 등 피해 계층은 여전히 힘들다"며 "피해 계층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oskymoon@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