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생산자·소비자물가 갭 5.8%, 美 두배 이상…올해 4월 인플레 폭발 우려
생산자물가→소비자물가 전이 막은 정부
정책적 성공했지만…올해 4월부터 어떻게
공공요금 고삐 풀리고, 유류세 인하도 끝나
연착륙 대책 없으면 생산자물가 즉각 전이
기대 인플레이션 악순환 일으킬 수 있어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지난해 11월 전년동월비 생산자물가등락률이 소비자물가등락률보다 5.8%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비교하면 해당 갭이 2배 이상 차이난다.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우리나라와 미국이 비슷한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미국이 훨씬 높다.

우리 정부 물가정책이 지난해 효과를 발휘해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즉각적으로 연동되는 것을 억제했다는 의미도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올해 물가상방압력이 더 커졌단 이야기가 된다. 정책적으로 연착륙을 도모하지 않으면 2분기 물가상승압력이 폭발하면서 인플레이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자물가는 2020년 내내 소비자물가보다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1월부터 동수를 기록하더니, 이후엔 생산자물가등락률이 소비자물가등락률보다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지난해 3월 2.2%포인트 차이를 기록하더니, 10월엔 5.9%포인트로 6%포인트에 근접했다.

생산자물가엔 기본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영향을 미친다. 고유가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생산자물가가 뛰면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도 이를 추종한다.

정부가 의도적으로 이를 막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전기요금, 가스요금이다. 유가가 뛰었지만,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은 그대로다. 유류세 인하도 일부 비슷한 효과를 냈다. 소비자물가 측면에서 보면 성공했다는 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증요법에 지나지 않는다. 문제는 올해, 특히 4월이다. 유류세 인하를 언제고 계속할 수 없고, 공공요금은 인상하지 않으면 적자가 쌓인다. 정부는 이미 유류세 인하 종료시점과 공공요금 인상시기를 4월로 예정했다.

미국 노동 통계청에 따르면 미국 11월 전년동월비 생산자물가등락률은 소비자물가등락률보다 2.8%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11월 소비자물가등락률(CPI)은 6.8%, 생산자물가등락률(PPI)은 9.6%다. 생산자물가등락률이 우리나라와 같은데, 소비자물가등락률은 미국이 훨씬 높다. 매를 미리 맞은 셈이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