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 2년, 디지털 타임캡슐에 담는다
코로나 생생한 기록 역사로 보관
177개 기관 8000여건 중 선별
4차위, 데이터 선정작업 돌입
향후 위기대응 매뉴얼로 활용
응원반창고 캠페인 [이노션 월드와이드 제공]

세계인구 17억명 중 감염자 5억명, 사망자는 최소 1700만에서 5000만명.... 1918년~1920년 스폐인 독감이 창궐했을 당시 세계 상황이다. 한반도에서는 ‘무오년’ 독감으로 불리며 14만명의 사람들이 희생됐다. 1600만명의 조선인 중 740만명이 스페인 독감에 감염됐다.

그로부터 100년 뒤. 세계는 다시 펜데믹 상황에 빠졌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어 2년 넘게 팬데믹(대유행)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전세계 누적 확진자는 2억 7400만여명, 사망자는 500만을 넘어섰다. 스페인 독감이 대유행했을 당시 기록들 사람들의 이동 동선이나 마스크 보급 현황 등의 자료가 ‘타임캡슐’로 온전히 보존됐다면 어떨까. 인류가 코로나 19의 확산을 막고 사망자를 조금이라도 줄이는데 도움을 받지 않았을까.

이 같은 바램을 담은 디지털 ‘타임캡슐 프로젝트’가 28일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이날 오전 제 26차 전체회의를 열어 코로나19 타임캡슐 추진계획을 심의 의결하고, 타임캡슐에 들어갈 데이터 선정 작업에 돌입했다. 코로나 19 타임캡슐 추진계획은 코로나19와 이로 인한 국가사회 전반의 영향과 변화 등을 기록·저장하고, 분석·연구하여 향후 유사 위기 대응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이 계획은 문재인 대통령에게도 보고 됐다. 4차위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진행중이라 다른 나라의 경우는 아직 시작을 안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국이 최초 일 것”이라고 말했다.

4차위는 지난 2월부터 보존 대상인 데이터 선정을 위해 질병·방역 외에도 경제·사회 등 코로나로 인한 국가사회 전반적 현상에 대한 데이터의 현황을 조사했다. 마스크·백신·수출입 현황·민간의 코로나19관련 연구데이터·지자체별 확진자 정보·코로나 19 역학조사 데이터 등 177개 기관의 8000여 건의 데이터 목록이 파악됐다. 4차위는 2022년 상반기까지 ‘타임캡슐’에 들어가는 자료에 대한 선정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4차위 관계자는 “선정된 자료 중 일부는 국가지정기록물로 보존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4차위는 2022년 중에 일반 국민이 데이터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 작업도 구축할 계획이다.

4차위가 ‘타임캡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가장 큰 이유는 데이터의 소실 가능성 때문이다. 위치정보 등 개인정보와 관련된 자료들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폐기해야 되며, 기관의 필요에 따라 자료가 삭제될 수도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2년간 수집한 자료가 10년 후에 남아 있으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얘기다. ‘타임캡슐프로젝트’ 민간위원으로 참여중인 김혜주 신한은행 마이데이터유닛장은 통화에서 “스페인 독감 당시 자료가 남아 있었더라면 코로나 펜데믹 상황이 달라졌을 것”이라며 “후세를 위해서 살아 있는 지금의 역사를 기록하는 지금 이 시대 사람들의 숙제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법률 개정이 추진될 수 있다. 김 유닛장은 “자료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법 등과 충돌이 있을 경우 법률의 개정 등이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뿐 아니라 대학과 민간기업 등의 자료도 확보된다. 신용카드 회사와 이동통신사의 빅데이터가 대표적인 예다. 신용카드 회사와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펜데믹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디로 모이는지, 어디서 소비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김 유닛장은 “개인 식별 가능성을 살핀 후, 그 부분을 제외하고 자료 등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0년~2021년 자료 뿐 아니라 그전의 자료도 수집된다. 비교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김 유닛장은 “코로나19가 펜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그 이전의 상황으로 돌아가기 힘들 것”이라며 “이를 위해 펜데믹 이전의 자료도 필요하다. 폐기 가능성이 있는 자료는 수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타임캡슐은 향후 위기대응매뉴얼로 활용될 계획이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유행당시 정부의 대응이 미흡했던 이유가 박근혜 정부가 노무현 정부 당시 만들었던 2800여개의 위기대응 매뉴얼을 사실상 방치해서라는 지적이 있었다. 지난 2년간의 데이터를 타임캡슐을 통해 사실상 영구보존해 이 같은 전례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목적도 있다.

4차위는 또 자체 보존이 어려운 일부 데이터의 보존과 데이터 공유·활용·분석을 위한 타임캡슐 인프라 구축도 진행한다. 해당 프로젝트를 주관할 보건복지부와 4차위는 공공·민간 데이터의 원활한 공유와 활용을 위해 민·관 타임캡슐 부처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부처협의체는 보건복지부와 4차위를 공동 주관부처로 하고,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청, 통계청 등이 참여한다.

박병국 기자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