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베이징 불참 대신 화상정상회담?…김정은 행보가 변수
외교적 보이콧 대신 고위급만 파견 가능성
베이징 올림픽 전 한중 화상정상회담 할 수도
김정은 올림픽 참석할 경우 상황 다르게 전개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주요국들이 베이징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가운데 문 대통령의 올림픽 참석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서는 1월 중 화상을 통한 정상회담, 2월에는 문 대통령을 제외한 정부 고위급 인사들의 올림픽 개막식 참석 수순이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영국, 호주 등에 이어 일본도 지난 25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이달 13일(현지시간) 스콧모리슨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외교적 보이콧에 대한 검토는 하지 않았다"며 외교적 보이콧을 통한 주요 동맹국들의 대중견제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다만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동계 올림픽 참석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다. 청와대는 27일 오전까지도 문 대통령의 참석 여부에 대해 "결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외교가에서는 주요 동맹국들이 중국의 신장지역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탄압을 이유로 외교적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의 직접 참석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내에서 동맹국 중 외교적 보이콧에 대한 입장이 갈리는 것을 놓고 ‘동맹 분열’이라는 평가가 나오는데다 2015년 전승절 열병식 참석 논란이 재현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박 전 대통령은 2015년 9월 3일 베이징 천안문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 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열병식을 지켜봤다.

문 대통령이 외교적 보이콧은 검토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만큼, 김부겸 총리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 고위급 인사가 베이징에 대신가 균형점을 찾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 2019년 평창동계 올림픽 때 개막식때는 시 주석 대신에 리커창 중국 총리가 왔으니 형평성에도 맞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동계 올림픽 개최전인 1월 양 정상이 비대면 정상회담이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지난 3일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칙국원과의 회담 이후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돼 제반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한다는 데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며 “그 이전이라도 정상 간 필요한 소통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한중 화상 정상회담을 의미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다른 가능성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같은 상황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여부에 따라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IOC가 도쿄하계 올림픽 불참을 이유로 북한에 대해 1년간 자격정지 결정을 내리면서 북한 선수단은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석할 수 없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부는 중국과 IOC에 ‘정치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3일 정부 당국자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정부 합동 업무보고 후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과 관련한 질문에 "우리 정부로서는 직전에 평창올림픽에서 올림픽을 통한 세계 평화를 이끌어내는 선순환 경험을 했다. 직전 올림픽 개최국의 역할도 할 필요 있다고 본다"며 "IOC와 북한, 중국의 협의 결과를 보면서 추가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눈여겨 주시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이 그 동안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평화의 장’이 되길 바란다는 언급을 수차례 한 만큼, 김 위원장이 참석할 경우 문 대통령의 참석 가능성도 커진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