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文대통령 올림픽 참석 질문에 “北·中 협의 결과 주시"

[헤럴드경제=신대원·박병국 기자]통일부가 23일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 여부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중국, 북한의 협의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 당국자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정부 합동 업무보고 후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베이징 올림픽 참석과 관련한 질문에 "우리 정부로서는 직전에 평창올림픽에서 올림픽을 통한 세계 평화를 이끌어내는 선순환 경험을 했다. 직전 올림픽 개최국의 역할도 할 필요 있다고 본다"며 "IOC와 북한, 중국의 협의 결과를 보면서 추가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눈여겨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기본적으로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동북아 평화, 남북관계 개선의 중요한 전기가 되고, 이 지역의 동북아 평화 나아가 세계평화에 이바지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IOC는 도쿄하계올림픽 불참을 이유로 북한 선수단에 대해 1년간 자격정지 징계를 내린 바 있다. IOC의 결정에 따라 북한이 베이징 올림픽에 참석하지 못하게 되면서 올림픽을 '한반도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을 위한 계기로 삼으려던 문 대통령의 구상에 차질이 생겼다.

일단 문 대통령은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면서 미국, 호주, 영국 등 주요 동맹국가들의 외교적 보이콧을 통한 중국 압박에는 동참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외교적보이콧은 정상 등 정부 관계자들이 빠진 채 선수단만 참석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외교적 보이콧과 별개로, 정부는 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방안과 고위급 인사들만 참석하는 방안을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또 핵화 협상이 북미간의 양자구도로 되면서 우리 정부의 위치가 당사자가 아니라 중재자에 머문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9·19 공동선언에는 남북간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합의도 했고, 영변 핵시설 철폐와 구체적 이야기까지 했다"며 "그 전과는 다르게 우리 정부가 북한 비핵화에 대해 적극적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또 "북미간 비핵화 협상을 지원하지만, 비핵화 조치에 맞춘 남북간 협력을 통해 필요한 조치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