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대만 장관 초청 취소에 '1월 한중정상회담 설' 부상
대통령 직속위원회 대만 장관 연설 당일 취소
대만 외교당국 '외교적 결례'라며 정부에 항의
지난 2019년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파푸아뉴기니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이 포트모르즈비 시내 스탠리 호텔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정부가 대통령 직속기구에서 연설 예정이었던 대만 장관의 초청이 갑자기 취소되고 대만 당국이 이에 항의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간의 ‘1월 화상 정상회담설’이 부상하고 있다.

앞서 청와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기 전이라도 비대면 정상회담 등을 추진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는 지난 3일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칙국원과의 회담 이후 보도자료를 통해 “양측은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돼 제반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한다는 데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했다”며 “그 이전이라도 정상 간 필요한 소통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한중 화상 정상회담을 의미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다른 가능성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시 주석의 방한은 ‘코로나 19 상황의 안정’이라는 전제를 붙였지만 ‘화상 정상회담’의 시기는 못박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 직속 기구인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2021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콘퍼런스’에 초청받은 탕펑(唐鳳) 행정원 디지털 담당 정무위원(장관급)이 화상 연설이 행사 당일인 16일 새벽 취소된 것이다.

대만 외교부는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측의 결례와 관련해 주(駐) 타이베이(台北) 한국 대표처 대리대표를 불러 강력한 불만을 표시했다”며 “우리나라 한국 주재 대표도 동시에 한국 측에 우리 정부의 엄정한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에 대해 “종합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구체적인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교적 결례’에도 이를 대만 정부 인사 초청 취소를 강행한 것은 한중정상회담을 염두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흥규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은 “정부내 소통 부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외교적 결례’임에도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대만 장관의 초청을 직전에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직접 참석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쉽지 않다”며 “문 대통령이 1월 화상정상회담을 통해 종전선언과 사드체제 종식을 위한 시 주석의 협력을 이끌어내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외교전문가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동계올림픽에 참석한다면 사정이 달라질 수 있지만 미국 등 동맹국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 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베이징 올림픽에 직접 가는 것은 힘들 것”이라며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그는 “다만 이는 외교적 보이콧과는 다르다"며 "정부 고위급 인사들은 베이징 올림픽에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은 참석하고 정부관계자들은 참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이 현재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