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재명 ‘우클릭’, 김종인 ‘전면등판’에…李-尹 정책 닮아간다
李, 양도세 중과 유예 주장·대출 규제 비판
보수텃밭 TK서 전두환 경제 성과 재평가도
金, 코로나 손실보상 50조→100조 판 키워
金 총괄 맡으며 ‘작은정부론’에서 국가적극재정론으로 선회
尹 “최저임금·주52시간 유지…후퇴 불가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0일 오후 대구시 동성로를 찾아 거리를 걸으며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신혜원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그동안 강력하게 주장해왔던 일부 공약을 수정하거나 보류하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측에선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전면에 나서면서 양당간 국정 운영 기조 차별성이 사라지고 있다. 이 후보가 보수 진영의 노선을 일부 수용하고, 대표적인 ‘경제민주화’론자인 김 위원장이 국민의힘 정책에 국가 적극 재정론을 반영하면서다. 이 때문에 양 당 모두 내부에서 혼선과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데다 유권자들에겐 ‘말바꾸기’ ‘물타기’로 비춰져 후보 선택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는 최근 들어 부동산 규제 완화를 거듭 주장하며 ‘정책 우클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12일 “1년 정도 한시적으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중과율을 처분 기간별로 차등을 두는 구체적인 완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13일에도 “대통령 당선 이후가 아닌, 현 시점부터 추진할 공약”이라며 재차 세제 완화 의지를 강조했다. 앞서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정책에 대해서는 “현실을 모르고 일률적으로 금융을 통제한 건 죄악”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당초 ‘기본소득을 위한 국토보유세 신설’을 주장했던 이 후보의 행보와는 반대되는 행보다. 정부와 민주당이 추진해온 부동산 정책 핵심 기조인 ‘투기 수요 억제를 통한 집값 안정’과도 배치된다.

이 후보가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는가 하면, ‘탈원전’이 아닌 ‘감(減)원전 정책’을 주장하며 문재인 정부와의 차별화에 골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후보는 또, 최근 경제계와 접촉면을 늘리며 ‘친기업’ 이미지를 부각하고, 보수정당의 텃밭인 대구·경북 지역을 찾아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제 성과를 재평가하는 등 연일 외연 확장을 꾀하고 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9일 서울 마포구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 21주년 기념식 및 학술회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

윤 후보 역시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의 등판을 계기로 중도층 표심 잡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영업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100조원 손실보상’을 띄운 것이 대표적이다. 윤 후보는 기회마다 거듭 ‘민간주도’ ‘작은 정부’를 강조해왔고, 국민의힘은 국가부채의 우려를 들어 국가재정의 보수적 운영을 주장해왔는데, 이와는 상반되는 정책이다. 김종인 위원장은15일 윤 후보의 ‘작은 정부론’에 대해 “정치 초보자 후보자들의 주장”이라며 “당선되고 난 다음에 정부 사정이 어찌 되느냐에 따라서 아마 생각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했다.

윤 후보는 또, 선대위 출범 첫 주를 ‘약자와의 동행’ 주간으로 정하는 등 보수 정당의 기득권 이미지를 탈피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위원장을 맡은 후보 직속 ‘새시대준비위원회’와 호남 출신의 박주선 공동선대위원장이 이끄는 동서화합미래위원회를 발족키도 했다.

윤 후보가 전날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최저임금과 주 52시간제에 대해 “이미 정해져서 강행되는 근로 조건을 후퇴시키는 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도 눈에 띈다. 앞서 최저임금과 주 52시간제을 “탁상행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폐지 가능성을 시사했던 것에서 한 발 물러난 셈이다. 중도층과 합리적 진보층을 겨냥한 행보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두 후보의 이 같은 행보가 자칫하다간 정책의 차별성과 집토끼를 잃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대선판이 양자 구도로 짜여지는 경우엔 양측이 중도층을 잡기 위해 진영 논리를 벗어나 반대편으로 다가가는 현상이 반복됐다”며 “다만, 후보의 발언이나 정책이 기조가 바뀌는 폭이 크다면 중도층이나 지지층 입장에선 ‘저번에 했던 이야기와는 다르지 않냐’는 당혹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역시 “선거철이 되면 중간지대에 표가 많기 때문에 양당 후보 간 이념과 정책의 차이가 줄어든다“며 ”그러나 최근 이 후보가 전통적 민주당 지지자들이 반발할 수 있는 정책들을 앞세우고 있기 때문에 (이 후보가) 의도한 결과를 가져올 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hwshin@heraldcorp.com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