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獨 숄츠 내각, 취임 초부터 ‘매운맛’ 외교…中·러 ‘강공’ 이어 “이란 핵협상, 시간 얼마 안남아”
올라프 숄츠 독일 신임 총리.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올라프 숄츠 독일 새 내각이 인권 문제를 독일 외교정책의 중심에 놓겠다던 약속을 실천하고 있다.

실용주의 외교노선을 내세워 유연했던 전임 앙겔라 메르켈 내각과 달리, 중국과 러시아 등 일명 ‘권위주의’ 국가를 대상으로 ‘매운맛’ 외교 정책을 구체화하는 모양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독일 역사상 첫 여성 외교 수장이 된 안나레나 배어복 독일 외교장관은 이날 영국 리버풀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원 성공을 위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이란의 태도를 볼 때) 지난 며칠 동안 우리는 아무런 진전이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8월 대미(對美) 강경파인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이 취임한 후 약 5개월 만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회담이지만, 협상 타결을 위한 이란 측의 노력이 없었다는 점을 독일 외무장관이 직접 나서 비판한 것이다.

이는 메르켈 전 독일 총리가 중국·러시아와 함께 미국-이란 간의 핵협상 중재 역할을 자처한 것과는 사뭇 다른 태도다.

녹색당 출신으로 인권 가치를 최우선시하는 배어복 외교장관의 등장이 과거와 사뭇 다른 강경주의 독일 외교 정책의 상징적 장면이 될 것이란 분석이 그동안 계속됐다. 그동안 그는 유럽과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노르트 스트림-2(Nord Stream-2)’ 사업을 반대해왔고,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를 비판해왔다. 중국에 대해서도 “대화로 외교를 이끌겠지만,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독일 외교 정책이 보다 강경한 입장으로 바뀌었다는 점은 최근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에서도 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숄츠 신임 총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을 침범한 경우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독일을 포함한 우방국은 위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모든 조치들을 동원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숄츠 총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우방과의 정상회의를 통해 러시아에 대한 외교·군사적 압박에 동참하는 모양새다.

숄츠 총리는 10일 샤를 미셸 EU(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함께한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국경을 따라 우리가 보고 있는 (러시아) 병력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의 침공이 있을 경우 EU과 다른 국가들이 대응할 것은 분명하며 이 같은 결과를 막기 위한 대화 역시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같은 날 열린 독일-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공동 기자회견에선 숄츠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이 “나토와 우크라이나의 관계는 나토 회원국 30개국과 우크라이나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나토 가입 금지’ 요구를 묵살하기도 했다.

여기에 아직 숄츠 내각이 구체적인 말은 아끼고 있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긴장 고조 행위를 계속할 경우 노르트 스트림-2 사업 승인도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관된 전망이다.

안나레나 배어복 독일 신임 외교장관. [AFP]

한편, 숄츠 내각이 미국 주도의 2022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할 지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배어복 외교장관을 중심으로 한 연정 내 녹색당 측은 과거부터 신장(新疆) 지역에서 발생한 중국의 위구르족 등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에 강하게 비판해왔다. 배어복 외교장관도 “베이징올림픽 보이콧은 향후 몇 주간 논의될 예정”이라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최근 숄츠 총리는 독일 관영 매체와 인터뷰에서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선언에 대해 확답을 내놓지 않기도 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