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1월 소비자물가 3.7%↑, 9년 11개월 만에 최고…오이 99%↑
생활물가 5.2%↑…석유류 35.5%↑·농축수산물 7.6%↑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11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동월보다 3.7%오르면서 9년 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오이값은 100%가량 오르는 등 밥상 물가를 비롯한 석유류, 전월세도 줄줄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개월 연속 3%대를 기록하고 지난 4월부터 7개월 연속 2%이상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에 정부의 연간 물가 안정 목표치 2% 달성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9.41(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상승했다고 2일 발표했다.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다가 지난 10월 3.2%로 뛰어올랐다.

11월 물가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이 전년 동월 대비 5.5% 상승해 2011년 11월(6.4%)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석유류 물가는 35.5% 올라 2008년 7월(35.5%)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정부가 지난달 12일부터 유류세를 20% 내렸지만, 인하분이 가격에 반영되는 데 시일이 걸려 물가 상승 폭을 낮추는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7.6% 상승했다. 오이(99%), 상추(72%), 달걀(32.7%), 수입쇠고기(24.6%)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6% 오르는 데 그쳤지만, 개인 서비스가 3.0%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3%올랐다. 체감물가를 설명하는 생활물가지수는 5.2% 올랐다. 이는 2011년 8월(5.2%)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통신비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축소되면서 공공서비스 가격 오름세가 둔화됐지만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가격 오름세가많이 확대돼 상승 폭이 전월보다 0.5%포인트 확대됐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