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기관 이전 끝나니 수도권 11.6만명 순유입
통계청 "수도권 집중화 다시 시작…경기도로 유입 심화"
코로나에 통근·통학 감소…개인 이동수단 이용 늘어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공공기관 이전 효과가 사라지자 수도권으로 순수하게 유입된 인구가 12만명을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통근·통학 인구가 감소하고 버스 대신 승용차 등 개인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비중이 커졌다.

통계청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 인구 특성 항목'을 발표했다. 총조사는 5년마다 시행한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새 수도권 밖에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97만8000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전출한 인구는 86만2000명이다. 11만6000명이 수도권으로 순수하게 유입된 셈으로, 2015년에는 수도권에서 8만5000명이 순유출됐던 것과 대조된다. 2010년에는 3000명이 수도권으로 순유입됐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2015년에는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세종시 등으로 유출될 요인이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유출 요인이 없어져 수도권 집중화가 다시 시작됐다"며 "수도권 중에서도 경기로의 유입이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인구 집중이 계속되다가 2015년에는 혁신도시 덕분에 한 차례 지방 분산 효과가 나타났으나 단기간 효과에 그쳤다는 것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부산, 대구, 울산, 경남, 제주, 광주·전남, 강원, 충북, 전북, 경북 등 10곳에 조성된 도시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2005년 계획이 수립된 뒤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고 2019년 마무리됐다.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 규모를 보면 충남(6만2000명)이 가장 많았고 강원(4만6000명), 충북(3만5000명) 등이었다.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로의 쏠림이 두드러졌다.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보다 많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17만6000명), 경남(1만5000명), 세종(1만명) 등이다. 서울에 살다가 지난해 경기로 이동한 인구는 26만6000명이고, 경기에서 서울로 이동한 인구는 18만명이었다. 서울에서 경기로 8만6000명이 순유입된 셈이다.

정남수 과장은 "경기 김포·동탄 등에 아파트 신규 입주가 많이 이뤄져 경기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1년 전과 거주지가 달라진 1세 이상 인구 비율을 가리키는 1년 전 거주지 이동률은 16.6%로 2015년 조사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이중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이동률은 7.2%로 1.6%포인트 올랐다.

우리나라 인구의 출생지를 보면 서울이 16.3%로 가장 많고 이어 경기(13.6%), 경북(8.7%) 순이었다. 12세 이상 인구의 통근·통학률은 61.8%로 2015년(66.7%)에 비해 4.9%포인트 내렸다.

수도권의 시도 간 통학·통근 인구는 237만7천명으로 경기에서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인구가 125만6000명이었다.

전체 통근 ·통학인구 2801만2000명의 이용 교통수단을 보면 승용차·승합차의 비중이 43.7%로 2015년 대비 6.3%포인트 늘었고 걸어서(18.3%)는 6.0%포인트 내렸다.

정남수 과장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통근·통학하는 인구 비중이 감소했고 교통수단 측면에서도 대면 접촉을 피하고자 개인 이용수단 이용은 늘고 다중 이용 수단 이용은 줄었다"고 말했다.

도보 이동이 줄어든 것은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확대로 통학하는 인구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철·지하철 이용(9.5%)은 신분당선, 1호선, 경의선, 수인·분당선 등 각종 노선의 확장으로 1.6%포인트 늘었다. 평균 통근 시간은 2015년 대비 0.4분 줄어든 30.8분, 평균 통학 시간은 3.4분 줄어든 26.2분으로 조사됐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