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한구 통상본부장 “백신·치료제 공급 등 지원 방안 도출 노력”
'통상과 백신 포럼' 온·오프라인 개최
“WTO에 기업 건의 사항 전달해 추가 논의”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종식을 위한 실효성 있는 통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업과 국제기구 등과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 한국과 유럽의 백신·치료제 기업 및 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통상과 백신 포럼'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보건 위기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조되는 가운데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통상 분야의 지원 방안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과 제네바를 화상으로 연결한 '통상과 백신 세미나'와 '글로벌 백신·치료제 파트너십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이 차례로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아이진[185490], 론자(Lonza), 로켓백스(RocketVax) 등 참석 기업들이 백신·치료제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겪은 원부자재 부족 등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신속한 통관절차 마련, 수출 제한 조치 철폐, 원부자재 관세 인하, 통상 네트워크를 활용한 국제기구 및 기업 간 파트너십 활성화 등과 같은 지원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아나벨 곤잘레스 WTO 사무부총장은 WTO 차원에서 실용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고, 리차드 윌더 감염병혁신연합(CEPI) 고문도 기업들의 건의 사항을 참고해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답변했다.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는 CEPI와 아이진, PASG, 론자 등 총 15개 백신 및 투자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들이 참석해 백신·치료제 개발 및 생산을 위한 기업 간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WTO ‘무역과 보건’ 논의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 보호 유예와 같은 통상분야 대응책 마련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와관련, 한국 정부는 이 논의에 적극 참여함과 동시에 한국이 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원 지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 본부장이 제시한 지원은 ▷국내 백신 산업 생태계 혁신 ▷유수 글로벌 백신 기업 투자유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백신 분야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이다.

여 본부장은 이어 "이번 포럼에서 제안된 통상 분야 지원 방안 등을 WTO '무역과 보건' 분야에 전달하고, WTO 회원국과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실용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