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승범, 국제회의서도 “가계부채 관리 중요” 강조
FSB총회 참석 글로벌 부채 증가 논의
고승범 금융위원장.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글로벌 부채 증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18일(한국시각)열린 FSB 총회에 참석해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과거 금융위기 이면에는 모두 과도한 부채 누적이 자리잡고 있었다"고 말하며 이같이 밝혔다.

고 위원장은 최근의 과도한 부채와 자산 가격의 상승으로 금융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금융안정을 위해 가계부채 관리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또 금융의 상호연계성이 강화됨에 따라 위기 발생시 부문간, 국가간 전염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하고, FSB 중심의 금융당국간 국제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FSB는 이날 금융안정성에 대한 전망과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논의했다.

현재 주요 취약 요인으로는 코로나19에 따른 정부·기업·가계의 부채 증가를 지적했다. 정부 당국의 광범위하고 신속한 정책 대응은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는데 기여했지만, 기업 및 가계 등에서 전례없는 수준의 부채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FSB는 과도한 부채(debt overhang) 문제의 원활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방안과 업계 관행에 대해 논의 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FSB는 금리 상승과 더불어 선진국·개도국 간 경제·금융 상황의 차이가 글로벌 금융안정에 취약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또 비은행금융중개(NBFI, Non-bank Financial Intermediaries)를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스템 복원력 증진 및 거시건전성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기후변화 관련 금융 리스크, 가상자산 이용에 따른 금융시스템 취약성 증가 등 새로운 과제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FSB는 주요 7개국(G7)을 주축으로 설립된 금융안정포럼(FSF)을 전신으로 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 과정에서 G20이 참여하는 현재 형태로 확대·개편됐다. 국제기준 및 정책 권고안 개발, 국제기준 이행점검 및 국가간 협력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한 금융규제 개혁을 추진한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