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지지율 40%대 흔들…무게중심은 '대선주자'에게
40%유지하던 지지율 30%대로
정권교체 여론도 정권재창출 보다 높아
여권 내에서는 정부 기조와 다른 목소리
지난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로 이탈리아를 방문한 문 대통령이 교황청에서 프란치스코 교황과 면담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40%대를 유지하던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세가 30%대 박스권에 갇혀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참모들은 문 대통령 퇴임시 지지율 40%가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오히려 여야 후보가 확정되고 대권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무게 중심이 대선 후보에게 옮겨가는 모습이다. 여권 후보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18세 이상 25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주 조사보다 4.5%포인트 낮아진 34.2%(매우 잘함 19.8%, 잘하는 편 14.4%)를 기록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5.3%포인트 높아진 62.9%(매우 잘못함 46.6%, 잘못하는 편 16.4%)를 기록했다. 올해 4월 4주차인 33.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0월 1주차까지 13주 동안 40%대를 기록했던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10월 2주차에 39.2%를 기록한 이후,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3주차에서 40%로 소폭 올랐다가 4주차에는, 38.7%로 다시 떨어졌다.

이번 조사는 문 대통령의 유럽순방기간에 진행된 것이다. 이 기간동안 박수현 청와대 수석과 박경미 청와대 수석이 라디오에 나와 ‘기후’ ‘평화’, ‘경제’ 등 이탈리아, 영국, 헝가리로 이어진 유럽 순방성과를 홍보했지만 여론조사결과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추세가 이어진다면 퇴임시 40%대 지지율은 장담키 어렵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최근 라디오에서 나와 문재인 정부가 마무리되는 내년 5월까지 정무수석직을 지낸다는 전제로 "청와대에서 나가기 직전 주 국정 지지율 조사에서 40%가 나온다면 여한이 없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함께 정권재창출보다 정권교체를 원하는 여론이 높다는 조사결과도 눈에 띈다. 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8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대선 성격을 묻는 말에 '정권교체'는 응답이 53.6%, '정권재창출'은 37.0%로 나타났다.

여권 내에서는 문재인 정부와 정책기조가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기조인 ‘탈원전’을 두고, 기존의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에 이어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의 원전 관련 언급도 정부 기조와 차이가 난다.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출신인 정승일 사장은 지난 10일 한 기자간담회에서 "저희는 현재 원전이 적정하다고 보고 있지만, 더 많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국민 공감대가 있다면 (원전 확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정재훈 사장도 지난달 21일 국회에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국정감사에서 "신한울 3·4호기 원자력발전소가 건설 재개돼 (원전 생태계가) 숨통을 틔웠으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바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후보 이번 정부 정책기조와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후보는 최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년, 가상자산을 말하다’ 간담회에서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보호보다 과세를 우선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 때문에 현장에 있는 여러분이 매우 실망하고 어쩌면 원망을 넘어 분노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가상자산 과세는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시점과 맞춰 한 1년쯤 연기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고 당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여성가족부 폐지논란에 대해서도 "(페미니즘이) 일반적 정책으로는 매우 부합하고 맞는 말인데, 부분적으로 보면 갈등과 문제를 일부 야기하는 측면이 있다"며 "제가 고민 고민 끝에 여성가족부를 폐지하자(고 했다), '여성' 자가 들어가니까"라고도 했다. 청와대는 지난 9월 여성가족부를 폐지하자는 국민청원에 답변하며 “여성가족부는 여성·청소년 등을 소외시키지 않는 포용적 사회환경을 만드는 역할이 있다”면서 폐지 주장을 일축한 바 있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