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 아직 하나 남았어요” 오징어게임 위기 순간 이정재 ‘뇌’ 상태는?
‘오징어게임’에서 이정재(극중 성기훈)가 마지막 남은 구슬 하나를 들어 보이고 있다 [넷플릭스]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짝인 거 같기도 하고, 홀. 내가 또 이겼네”(오일남)

“하나 남았어요. 아직 하나 남았어요”(성기훈)

넷플릭스 콘텐츠 ‘오징어게임’ 속 장면 하나. 생존자들은 둘이 짝을 이뤄 구슬 게임을 통해 상대방의 구슬을 모두 빼앗아야 한다. 자신의 구슬을 지키지 못한 사람은 결국 탈락해 죽음을 맞는다. 극 중 성기훈(이정재)은 마지막 구슬만 남겨둔 상황에 진행요원이 권총에 손을 대자 ‘아직 하나 남았다’고 간절하게 애원했다. 극중 조상우(박해수)도 마지막 구슬을 지키지 못할 위기에 상대인 알리 압둘(아누팜 트리파티) 앞에 무릎을 꿇고 눈물로 호소했다.

전 세계적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는 오징어게임은 빚더미에 쌓인 사람들이 게임을 통해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경우 거액의 상금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게임에서 이기는 것은 곧 생존을 의미, 사실상 끝까지 목숨을 지키는 것이 핵심이다.

목숨을 사수해야 하는 게임 속 참가자들은 항상 불안하고 조급하다. 아무리 졸려도 두발 뻗고 편하게 잠도 못 잔다. 방심했다가는 경쟁자들로부터 봉변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슬 아직 하나 남았어요” 오징어게임 위기 순간 이정재 ‘뇌’ 상태는?
‘오징어게임’ 참가자들이 게임에서 이기는 것은 곧 자신의 목숨을 지키는 것이다 [넷플릭스]

소중한 것을 지켜야 한다면 누구나 오징어게임 속 참가자처럼 절박할 수밖에 없다. 특히 무언가를 빼앗는 것보다 지켜야 하는 경우 우리 뇌는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는 신경 과학적으로도 입증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경쟁에서 목표물을 얻기보다 지키는 행동에서 뇌가 더욱 격렬해진다는 원리를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진은 경쟁 시 행동과 뇌 활동의 연결고리를 찾고자 공복상태의 생쥐 두 마리에 먹이 경쟁 실험을 진행했다. 직사각형 상자 내 두 마리 생쥐가 동시에 들어가면, 맞은편에 먹이를 제공해 경쟁을 유도했다. 내측 전전두엽 분석 결과, 먹이를 빼앗거나 지킬 때 뇌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내측 전전두엽이 경쟁 중 목표물 뺏기 혹은 지키기 행동과 직접 연관되는 것이다. 내측 전전두엽(medial pre-frontal cortex)은 대뇌 전두엽의 안쪽 부분에 위치해 인지, 사고 및 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

“구슬 아직 하나 남았어요” 오징어게임 위기 순간 이정재 ‘뇌’ 상태는?
생쥐가 먹이를 빼앗는 행동에서 지키는 행동으로 전환할 때의 내측 전전두엽의 뇌신호 변화. 먹이를 빼앗는 행동에서 지키는 행동으로 전환할 때 내측 전전두엽의 뇌신호 발화율이 그래프 상 증가했다. [IBS 제공]

특히 뇌 활동은 상대의 먹이를 빼앗은 후 이를 지키는 행동으로 전환할 때 더욱 격렬해졌다. 경쟁 시 목표물을 쟁취하는 것보다 지키는 행동이 더 힘들고 중요하다는 의미다. 오징어게임에서도 상대방의 구슬을 빼앗으려 할 때보다 자신의 마지막 1개의 구슬을 지키려고 했을 때 뇌가 더욱 활발히 가동된 것으로 뇌 과학자들은 풀이했다.

조일주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은 “오징어게임에서 극이 진행될수록 상금을 획득하기보다는 목숨을 지키기 위해서 뇌가 더 활발하게 움직였을 것이다. 이에 각종 게임에서 위기 순간 참가자들이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것도 이런 뇌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동 연구진은 시스템 간 신호 간섭 등 기존의 한계를 극복한 ‘초소형 무선 뇌 신호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는 블루투스 무선통신과 신호분석 칩을 적용해 여러 생쥐의 뇌 활동을 무선으로 실시간 동시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

“구슬 아직 하나 남았어요” 오징어게임 위기 순간 이정재 ‘뇌’ 상태는?
조일주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 [IBS 제공]

조일주 KIST 뇌과학연구소 단장은 “행동에 따른 뇌 신호 변화 관찰에 유용한 도구를 개발했다”며 “이에 약물 전달, 빛 자극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뇌 작동 원리 규명 및 뇌 질환 정복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후속으로 자폐증, 조현병 등 사회성 관련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