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긴축 선진국?...유독 빠른 금리상승세
한은, 과도한 가계부채에 선제적 대응나서
주요국 긴축전환·위험자산 회피심리도 요인
눈덩이 이자부담 불가피...영끌족에 직격탄

국채금리 상승세가 가파르다. 세계 다른 주요국 보다도 유독 빠른 속도다 . 한국은행이 주택시장 과열 등 금융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기에 돌입한 데다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의 긴축 전환과 중국 헝다그룹 사태 등으로 인한 위험회피 심리가 가속요인이다. 물가가 급등하는 데다, 민간부채가 국내 총생산의 2배를 넘어서고 있어 이자 부담이 경기를 짓누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28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1.609%까지 올라 2019년 5월 이후 2년 4개월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결정하는 은행채 5년물이 연동되는 국고채 5년물은 1.950%로 2018년 12월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실제로 이날 5년 만기 은행채 금리는 2.206%까지 올라 2018년 11월 이후 최고였다.

이날 국고채 1년물 금리는 1.103%로 작년 3월 이후 가장 높았고, 이에 따라 1년 만기 은행채 금리도 1.409%를 찍으면서 1년 8개월만에 최대로 올라섰다. 은행채 1년물은 신용대출 금리의 산정 기준이 된다.

여러 우려에도 우리나라가 금리인상에 선제적으로 나서게 된 배경에는 과도한 부채에 따른 위기 발생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올 1분기말 주요 43개국 신용갭(Credit-to-GDP gaps)을 보면 한국은 18.3%로 해당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몇년 전만 해도 중하위권에 속했던 우리나라는 홍콩, 일본, 스위스, 프랑스에 이어 전세계 5위까지 올라왔다.

신용갭은 BIS가 한 나라의 국내총생산(GDP·명목) 대비 가계·기업 신용의 비율이 장기 추세치에서 어느 정도 이탈됐는지를 수치화한 것이다. 경제 규모 대비 민간 부채 리스크가 얼마나 증대됐는지 평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은행은 지난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기준금리가 한 차례 더 인상되더라도 차입을 갖고 있는 국민 1인당 이자부담 규모가 30만원 더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이는 변동금리 대출을 기준으로 기준금리 인상폭(0.50%포인트) 만큼만 반영한 것으로 국채, 은행채 등 시장금리에 따라 산출되는 대출금리 상승 규모는 이보다 더 크다.

실제로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8개 시중은행의 지난 8월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3.07~5.92%로 집계됐다. 지난 1월 2.86~5.63%에서 한 번의 기준금리 인상만으로도 이같이 오른 것인데, 이달 중 채권 시장 변동 감안 시 더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