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CR 완화’ 재연장 종료땐...대출금리 상승 가능성
현행 85%→100% 복원땐
4대 은행 유동성 추가확보 필요
은행채 발행 늘면 시장금리 영향
금융당국, 이달말 정례회의 결정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내년 3월까지 연장되면서 코로나19 금융지원을 위해 은행권의 자금여력을 확충해준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완화 조치의 연장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LCR은 향후 30일간 예상되는 순현금 유출액 대비 고유동성자산의 비율이다. 100%를 기준으로 비율이 높을수록 자금 상황이 우량하고, 낮을수록 취약하다는 뜻이 된다. LCR이 낮다는 건 그만큼 대출 여력이 축소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일정대로 LCR 완화조치가 이달 말 완료될 경우 당장 은행들은 고유동성자산을 늘려야 한다. 은행들이 다급히 자금 조달을 늘리면 예금금리와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쳐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국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은행)의 LCR비율은 90.3%다. 전분기보다 1%포인트(p) 떨어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이달 말까지 LCR 규제 비율을 100% 이상에서 85% 이상으로 낮췄다. 지난해 3월 국내 은행의 평균 LCR은 111.5%였다.

LCR 완화조치가 끝나면 은행들은 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고유동성자산을 확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출 등 여신을 줄이고 예적금 등 수신을 늘리거나, 은행채를 발행해 시장에서 추가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최근 은행들이 특별판매(특판) 예적금 상품을 잇따라 내놓는 배경도 이와 무관치 않다. 특판 상품의 경우 일반 예적금 금리보다 보통 0.5~1%p 높다.

은행채 발행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기준 은행채 순발행액 규모는 4조7200억원으로 전달(-7777억원)에 비해 5조4977억원 늘었다. 전년동월 대비해서도 1조17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수신과 은행채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영향도 있지만 LCR 완화조치가 연장될지 완료될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은행들이 미리 대비해 자금을 확보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은행 조달비용 상승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에 반영된다. 주담대 변동금리(6개월 주기 변동)는 코픽스(COFIX)를 지표금리로 삼는다.

코픽스 금리는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금융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의 수신상품 자금의 평균 비용을 가중 평균해 산출한다.

은행채 발행의 증가는 수급적 측면에서도 채권가격을 낮추며 금리를 높인다. 주담대 혼합형(고정금리+변동금리) 금리의 지표금리는 은행채 5년물 금리다. 신용대출의 경우 은행채 6개월과 1년물 금리를 지표금리로 삼는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급하게 자금을 모아야 하면 그만큼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결국 대출금리가 오를 수 밖에 없다”며 “은행들은 LCR 비율이 어느정도 시간적 여유를 두고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추석 연휴가 지나고 이달 말 예정된 정례회의에서 LCR 완화조치의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은행권 자금여력을 고려해 LCR 규제비율의 정상화를 신중하게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은행들이 LCR 규제비율 정상화 과정에서 큰 부담이 작용하지 않도록 고려할 것”이라며 “이번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연장과 간접적으로 연결된 만큼 시장친화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승환·정경수 기자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