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용병 “포스트 코로나 중심엔 ESG-디지털”
세계경제연구원-신한금융 국제콘퍼런스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 고승범 금융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2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신한금융지주 창립 20주년 기념 세계경제연구원-신한금융그룹 국제콘퍼런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 제공]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신한금융그룹이 ESG와 디지털 분야 역량 강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2일 신한금융그룹은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그룹 창립 20주년을 맞아 세계경제연구원과 함께 ESG-디지털 국제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주제는 ‘포스트 펜데믹 시대의 대항해 : ESG경영과 디지털 융합을 넘어’로 국내외 ESG-디지털 분야의 석학들과 글로벌 기업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의 개회사와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고승범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축사를 통해 ESG와 디지털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다.

조용병 회장은 환영사에서 “지속가능한 성장 위한 혁신 속도는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인해 인해 더욱 빨라질 것이며 그 변화의 중심에 ‘ESG’와 ‘디지털’이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ESG는 성장의 의미를 완전히 바꿔놨고, 앞으로는 사회적 가치를 지키는 모습이 기업을 평가하는 중요한 가치로 인식될 것이며 디지털은 이런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한도 기업의 철학을 ESG 중심으로 전환해, 국가적 전환에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콘퍼런스 개회 특별연설을 맡은 제프리 삭스 UN지속가능성장네트워크 회장은 기후변화, 녹색 전환 등을 강조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의 국제적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마크 커니 전 영란은행(BOE) 총재도 컨퍼런스 기조 연설을 통해 “국제 사회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 기업, 개인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연합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커니 전 총재는 이어진 전광우 이사장과의 질의응답에서 빅테크 규제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금융 혁신의 중요성은 모두 인정하지만 1980~90년대에는 이런 혁신이 금융 불안정성을 야기했다”면서 “빅테크 기업이 은행업, 자산운용업 등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규제 역시 동일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불공정한 시장상황이 조성될 수 있다”고 답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콘퍼런스를 통해 그룹의 새로운 ESG 브랜드 슬로건 ‘Do the Right Thing for a Wonderful World’를 발표했다. 신한의 ESG 가치 기준을 ‘이것이 옳은 일(Right Thing)인가?’로 정하고, ESG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더 나은 미래인 ‘Wonderful World’를 만들기 위해 신한이 고객과 함께 하겠다는 의지(Do)를 슬로건에 담았다.

신한금융은 ESG 브랜드 슬로건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그룹의 소셜미디어 브랜드 채널인 ‘기발한 프로덕션(대한민국의 기회를 발견하는 프로덕션)’ 통해 새로운 광고 캠페인도 함께 진행한다. 이번 광고 캠페인에는 도쿄올림픽 여자탁구에서 맹활약한 10대 스포츠 스타이자 신한 루키 스폰서십을 받은 신유빈 선수가 내레이션으로 참여했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