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프간 여권 신장의 희망’ 된 소녀 로봇팀의 호소 “아프간에 관심을…”
탈레반 집권기 이후 태어나 국제대회 참가해 유명세 치러
멕시코·카타르 등으로 피난 "언젠가 돌아가 고국 도울 것”
‘아프간 드리머스’로 알려진 여성 로봇공학팀 일원이 아프간을 탈출한 뒤 카타르 도하에서 25일(현지시간)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한 소녀 로봇공학자들이 꿈을 이뤄 고국을 돕고 싶다며 국제사회에 지원을 호소했다.

26일(현지시간) AP에 따르면 ‘아프간 드리머스(dreamers)’로 알려진 로봇공학팀 일원인 사가르는 고국을 떠난 후 안착한 멕시코에서 고국 상황을 우려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호소했다.

사가르는 아프간에 남은 가족에 보복이 가해질 것을 우려해 성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는 “앞으로 고국에 벌어질 일이 걱정스럽다”면서 “많은 이들이 떠났지만, 여전히 꿈을 가진 이들이 아프간에 남아있다. 소녀들이 꿈을 향해 계속 갈 수 있도록 전 세계가 아프간 평화를 위해 도와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프간 드리머스’는 20여명의 여학생으로만 이뤄진 로봇공학팀이다.

이들은 여성의 교육이나 사회활동이 엄격히 제한됐던 1996~2001년 탈레반 집권기 이후 태어난 세대로 아프간 여권 신장의 희망으로 여겨진다.

2017년 미국 워싱턴에서 국제 로봇 경진대회가 열렸을 땐 비자가 나오지 않아 참가가 무산될 뻔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정부가 나서서 미국행이 성사돼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대회를 포함한 여러 국제 대회에서 입상했고, 지난해에는 자동차 부품을 활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를 위한 저가 인공호흡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탈레반의 재집권과 함께 소녀들이 치렀던 유명세는 위험으로 돌아왔다.

사가르는 “아프간에서 집 밖 상황은 매우 위험했다”며 “특히 우리처럼 잘 알려졌고, 탈레반이 달가워하지 않을 성과를 거둔 이들에겐 더욱 위험하다”고 말했다.

아프간을 떠난 로봇공학팀원들 중 사가르를 포함한 4명은 24일 멕시코에 도착했고, 일부는 카타르로 탈출했다. 일부는 여전히 아프간에 남아있다.

사가르는 “아프간을 떠나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사랑하는 이들과 집, 추억, 모든 것을 두고 왔다”며 “우리 이야기가 탈레반 때문에 끝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떠났다. 아프간에 남은 이들을 도울 방법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카타르 도하에 있는 또 다른 팀원 아이다 하이다르푸르(17)도 이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아프간 사람들을 절대 버려두지 말아 달라”면서 “그들은 꿈과 목표가 있다. 부디 그들을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역시 팀원인 소마야 파루키(19)는 “언젠가는 아프간에 돌아가 국민과 조국을 위해 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