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최 “역선택 방지해야” vs 홍·유 “같은편만으로는 필패”
윤석열·최재형 “역선택 방지 조항, 반드시 필요해”
홍준표·유승민 “우물 안 개구리 선거, 본선서 필패”
선관위 출범 전후 후보간 합종연횡·극한대치 전망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예비후보가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인 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 김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최재형 전 감사원장이 17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방역 대책 등에 대한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국민의힘이 연일 내홍에 시달리는 가운데 대선주자들 사이에 ‘역선택 방지’ 여부가 또다른 뇌관으로 떠올랐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측과 최재형 전 감사원장측은 나란히 “역선택 방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홍준표, 유승민 등 기존 당내주자들은 중도 확장성을 이유로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에 반대하며 첨예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경선룰은 후보의 당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저마다 유불리에 따른 합종연횡과 극한 대치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당 경선준비위원회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지 않기로 했지만, 오는 26일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출범하면 경선룰 변경이 이뤄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최 전 원장은 “(역선택 방지는) 선거와 경선의 신뢰성·공정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재형캠프 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는 조해진 의원은 19일 CBS라디오에서 “우리 후보(최재형)의 여러 여론조사를 보면 일관되게 역선택이 작용하는 것이 뚜렷이 데이터로 나타난다”며 “우리 후보가 기대만큼 지지율 상승이 안 이뤄지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민주당 지지자들의 역선택이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측 역시 마찬가지다. 윤석열캠프 김병민 대변인은 “국민의힘 지지층의 지지보다 범여권의 지지가 월등하게 높은 후보들이 있다”며 “범여권 성향의 전폭적인 지지가 모이는 결과를 두고 역선택 부작용을 우려하는 국민이 적지 않다”고 했다.

역선택 방지 도입 요구는 경선 여론조사 대상을 보수 지지층에 한정하자는 얘기다. 1차 컷오프는 여론조사 100%로 결정되는 만큼, 민주당 지지층이 본선 경쟁을 염두에 두고 약체 후보에 투표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다.

윤 전 총장과 최 전 원장의 경우 보수층에서 지지세가 강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여야 후보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보다 야권 후보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 역선택 때문에 상대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18일 서울 동작구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에서 열린 수산업 정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국민의힘 대권주자인 홍준표 의원이 18일 서울 용산구 대한노인회 중앙회를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반면, 유승민 전 의원은 “지난 서울시장 선거때도 100% 여론조사를 하고 역선택을 신경쓰지 않는 이유는 국민의힘이 확장하자고 하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이나 정의당을 지지하든, 중도층이든 모두 대한민국 국민”이라고 맞섰다.

홍준표 의원 역시 “대통령 선거가 우리 쪽만 데리고 투표하는 진영선거인가”라며 “역선택 운운으로 우물 안 개구리식 선거로는 본선에서 필패한다. 30%남짓한 같은편 만으로는 선거에 이길수 없다”고 꼬집었다.

당 안팎에서는 당초 중도 외연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모았던 윤 전 총장, 최 전 원장이 오히려 역선택 방지를 주장하는데 대해 다소 아이러니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장 지난 4·7 서울시장 경선 당시에도 경준위가 정한 룰을 공천관리위원회가 뒤집었다”며 “선관위 출범을 앞두고 각 캠프마다 유리한 방향으로 경선룰을 관철시키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