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성만 하고 방치한 도심 공원들, 재정비 제도 마련해야
조성한 지 20년 도시공원, 전국 34%, 서울은 69%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도시 공원도 노후화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7일 ‘성숙도시 시대, 노후·저이용 도시공원 재정비 방안’ 보고서를 발표하고 도심 공원 재정비를 위해 정부 및 민간 투자 활성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양재천근린공원에 구청이 마련한 무더위쉼터. [서초구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공원은 34%, 10년이 넘은 공원은 66%에 달했다. 서울시의 경우 1970년대 중반부터 생활권 내 공원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조성 후 20년 이상 된 공원이 전체의 69%, 10년 이상은 91%에 이른다.

공원의 노후화는 환경은 물론, 안전 문제를 야기한다. 우선 시간이 지나면서 공원 시설물의 신설, 교체 수요가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놀이터는 놀이기구 노후화 시 안전 문제가 발생하기에 재정비 수요 또한 크다.

과거와 현재 기술 차이로 인한 투자 필요성도 크다. 과거 공원이 조성될 당시 가용자원이나 설계기술이 부족해 장소의 잠재적인 가치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또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진부해지거나 이용자의 달라진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장기간 방치에 따른 문제도 있다. 조성 당시 수목의 식수와 관련한 세심한 계획이 부족했을 뿐 아니라, 조성 후에도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곳이 많다는 의미다. 실제로 부러질 우려가 높은 위험한 나무가 방치된 곳도 상당수 존재한다.

양천연의생태공원 전경. [양천구 제공]

이태희 부연구위원은 “여러 연구에 따르면 공원 이용자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순한 면적이 아닌 공원의 ‘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원 정책은 공원의 양적 확대에 치중해 온 반면, 기존 공원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상당히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공원 재정비를 위해서는 성능이나 질에 관한 평가체계가 확립, 그리고 민간 자본 참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공공재인 공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공재원 투입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동시에 민간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