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남북통신선 복원부터 단절까지 침묵…광복절 메시지 낼까?
지난달 친서교환으로 남북통신연락선 복원
한미연합훈련 계기로한 북한의 일방적 단절
文대통령, 관련한 메시지 내놓고 있지 않아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한반도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은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말 숙원이다. 대화와 외교적인 노력을 통해 종전선언을 하고, 평화협정을 체결, 결국 항구적 평화체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반도평화프로세스 재가동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해외 순방이 있을 때마다 각국 정상들로부터 이에 대한 지지를 끌어냈다.

하지만 지난달 27일 청와대가 '남북통신연락선 복원'을 발표한 뒤, 정작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교환해 남북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했다. 하지만 이날 브리핑에서도 박 수석은 대통령의 발언은 소개하지 않았다.

남북통신연락선 복원이후,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국무회의에서도, 외부 공식행사에서도 남북관계에 대한 언급은 없다. 이후 있었던 춘추관 브리핑에서도 청와대 참모들은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하지 않고 있다. 댜만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등 청와대 참모들이 라디오 등에서 남북통신연락선 복원→실무급 화상회의→남북정상간 핫라인(hot line, 직통전화) 복원→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구상을 밝혔을 뿐이다..

남북통신연락선 복원이후인 지난 1일 김여중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촉구했을 때도, 한미연합훈련 사전연습이 시작된 지난 10일 "남조선당국자들의 배신적 처사"라는 김 부부장의 2차 담화문에도, 11일 김영철 부부장의 한층 노골화된 위협이 담긴 담화문에도. 결국 북한이 복원된지 2주만에 남북통신연라선을 단절했을 때도, 문 대통령은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 청와대 참모들은 11일까지 각각의 상황마다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고, 지난 12일에는 청와대 국가안전보장위원회(NSC) 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한반도에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은 자제되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정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통신 연락선 복원의 양측 발표문을 보면, 남북 당국의 조율에 따라 나온 것을 짐작할 수 있다"며 "이미 합의된 내용 외에, 문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관련 상황을 말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매해 광복절 마다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밝혀온 만큼 오는 15일 축사에서 한미연합훈련을 계기로 다시 불안해진 한반도 상황에 대한 문 대통령의 발언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열린 75주년 광복절 기념식 축사에서는 "남북 협력이야말로 남·북 모두에게 있어서 핵이나 군사력의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고의 안보정책"이라고 말했고, 지난 74주년 광복절 기념축사에서는 "분단체제를 극복하여 겨레의 에너지를 미래 번영의 동력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며 한반도평화프로세스 재가동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