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참모 조심스레 꺼낸 말에 지체 없이 "내 휴가 연기하세요"
코로나 상황 겹치며 3년연속 휴가 못가
평소 靑 직원에 "반드시 법정휴가일수 지켜야"
취임 첫해 뚜렷한 '휴가관'으로 화제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휴가지인 평창 오대산에서 시민과 만나 얘기하고 있다.[청와대]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지난 22일 오전 있었던 청와대 참모회의. "8월초 쯤에 가용한 시간이 있는데 휴가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현안에 대한 토론이 이어진 뒤 한 참모가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 문 대통령은 이에 지체 없이 "휴가는 연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답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같은 상황을 전하며 "코로나(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상황 때문에 참모들도 대통령 휴가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며, "참모들이 얘기를 꺼내니, 대통령이 이에 대한 특별한 말씀 하시지 않고 연기하는게 좋겠다'는 말씀을 바로 하셨다"고 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는 23일 0시 기준으로 1630명을 기록했다. 지난 7일 이후 17일째 네자리 수다.

참모들이 어렵사리 얘기를 꺼낸것은 이번 휴가가 취소되면 문 대통령은 2019년 이후 3년 연속 여름휴가를 보낼 수 없기 되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일본의 수출규제조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러시아의 독도 영공 침범등의 현안이 연이어 티지면서 문 대통령의 휴가는 취소 됐다. 지난해에는 휴가를 쓰고 경남 양산 사저에 내려갔다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한 호우피해가 커지면서 휴가를 취소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의 지지를 받고 당선된 만큼 '쉴 권리'인 휴가에 대한 생각은 뚜렷했다. 취임첫해인 2017년 6월 한미정상회담차 미국으로 가는 전용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21일간의 연차휴가를 다 쓸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선 과정에서는 “노동자의 충전과 안전을 위해 15일의 연차유급휴가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 공약은 연차휴가사용 촉진제도로 현실화 됐다.

문 대통령의 휴가관을 보여주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취임 첫해의 일이다. 휴가를 하루 앞둔 28일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새벽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1시간 정도 주재하고, 국방부에서는 대응 전략이 잇따라 발표됐다. 급박한 상황이지만 휴가는 강행됐다. 예정 보다 하루 늦어졌지만 30일부터 8월 5일까지 6박 7일간 평창과 진해로 휴가를 떠난 것이다. 야당에서는 '휴가를 가야만 하나'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여당과 정의당에서는 문 대통령의 휴가를 환영했다. 2018년에는 닷새동안 충남 계룡대에서 휴가를 보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년간 휴가를 가지 않으면서도 직원들에게 적극적으로 휴가를 쓰라고 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휴가를 갈 때 따로 말씀은 없으셨지만, 평소에도 직원들을 향해 '방역에 대한 권고사안 지키면서 반드시 법정휴가일수를 지켜라 하셨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