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北 대화 재개 위한 베트남 역할 당부"…베트남 당서기장 "대화 지지"
文대통령과 쫑 베트남 당서기장과 통화
"미얀마 민주주의 위해 양국 소통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청와대에서 응우옌 푸 쫑(Nguyen Phu Trong) 베트남 당 서기장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15일 “북한과의 조속한 대화 재개를 위해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베트남이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응웬 푸 쫑 베트남 당 서기장과 전화통화에서 “베트남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를 제공하고, 주요 계기마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지지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쫑 당서기장은 “베트남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적인 협의 대화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당서기장은 베트남 권력 서열 1위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후 있었던 문 대통령과 쫑 당시기장의 정상통화 내용을 전했다. 베트남은 당서기장을 중심으로 주석(외교·국방), 총리(행정), 국회의장(입법)으로 권력이 분산된 집단지도 체제다.

문 대통령과 쫑 당서기장은 한반도 상황을 비롯, 미얀마 상황, 양국 교역 등에 대해 협의했다.

이번 통화는 베트남 신지도부 출범 후 양국 정상급 차원에서 처음 이루어진 것이다.

문 대통령이 연임을 축하하자 쫑 당서기장은 “한국이 UNCTAD(유엔무역개발회의) 선진국으로 격상된 것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소통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쫑 당서기장은 “미얀마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아세안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미얀마의 평화‧안정 회복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문 대통령과 쫑 당서기장은 1992년 한-베트남 수교 이래 정치, 경제,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심화되어 왔다고 평가했다. 2022년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관계가 현재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지난해 양국 교역액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며“2023년까지 교역액 1000억 불 목표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쫑 당서기장은 “교역액 1000억 불 달성을 위해 투자규모를 확대하고, 글로벌 공급망 차원에서 한국 정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로, 한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이고, 베트남은 한국의 4대 교역대상국이며, 베트남에 9000여 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고, 각각 20만여 명의 양국 국민이 거주하고 있을 만큼 양국은 특별한 관계”라고 했다.

쫑 당서기장은 “한국은 아세안 협력의 중심 국가로서, 베트남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을 지지하며, 베트남의 발전 계획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을 결합시킨다면 양국관계가 더욱 심화‧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쫑 당서기장은 “한국과 베트남 정당 간의 협력, 국회 간 협력, 차세대 지도자 간의 협력을 증진시켜 나가자”고 제안했다.문 대통령은 “이 제안을 적극 환영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이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채택한 것을 환영하며, 한국에서도 베트남 문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될 수 있도록 교육·문화 분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쫑 당서기장은 “양국의 문화가 서로 널리 퍼질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