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유량 접점 찾은 사우디-UAE...OPEC+, 감산 완화 초읽기
타협안 마련...곧 회의 열릴듯
국제유가는 큰 폭으로 떨어져

산유량 정책을 놓고 이견을 보이던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이 타협에 성공했다. 이로써 OPEC과 러시아 등 비(非) 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도 곧 회의를 열어 향후 감산 정책을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14일(현지시간) OPEC+ 산유국의 한 대표를 인용해 사우디와 UAE가 타협안을 마련했으며 곧 새로운 회의 날짜가 잡힐 것이라고 전했다.

이 산유국 대표는 “UAE가 자국의 원유 생산 기준을 상향하는 대신 사우디가 제안한 감산 완화 합의 기한 연장에 동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열렸던 OPEC+ 회의는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의 감산 완화 방안에 UAE가 반대 입장을 보이면서 중단됐다.

당시 OPEC+는 올해 8~12월 매달 하루 40만배럴을 증산하고 내년 4월까지인 감산 완화 합의 기한을 내년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UAE가 이에 반대하면서 최종 합의를 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유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수십억달러를 투자한 UAE는 OPEC+가 정한 자국의 생산 기준이 처음부터 너무 낮게 설정됐다면서 감산 완화 합의 시한을 연장하려면 이 기준도 함께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OPEC+는 지난해 5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수요 감소에 대응해 당시 세계 생산량 대비 10% 수준인 약 하루 1000만배럴의 감산을 결정했으며 그 뒤 2022년 4월까지 점진적으로 감산 규모를 줄여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현재 OPEC+의 감산 규모는 하루 580만배럴 수준이다.

로이터 통신도 이날 OPEC+ 소식통을 인용해 UAE의 생산 기준을 상향하는 방향으로 절충안이 마련됐다고 보도했다.

다만, 다른 산유국도 생산 기준을 조정할지에 대한 부분 등 최종적인 결정은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 소식에 최근 급등세를 이어가며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하던 국제유가도 크게 떨어졌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12달러(2.8%) 하락한 배럴당 73.1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마켓워치에 “최종 합의가 이뤄지면 전면적인 생산 전쟁이 벌어질 것이라는 공포는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