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석열 "월성원전 수사, 굉장한 압력 들어왔다…탈원전, 방향 반드시 수정"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정책 행보
"탈원전은 졸속…의구심 많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연합]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정책 행보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날세워 비판한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서울대에서 주 교수와 면담한 후 기자들과 만나 "졸속한 탈원전 방향은 반드시 수정해야 한다"며 "(탈원전 정책이)국민의 합당한 동의와 사회적 합의로 추진된 것인지 의구심이 많다"고 했다.

그는 검찰총장 당시 월성 1호기 원전 조기 폐쇄 관련 수사를 지휘한 일을 거론한 후 "참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다"며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태로 이뤄졌고, 많은 법적 문제를 낳았다"고 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서울대 공학관 앞에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을 주도해 온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와 면담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윤 전 총장은 자신이 직을 관둔 배경 중 하나가 탈원전 정책이었다고도 했다.

그는 "총장을 관둔 것 자체가 월성원전 사건 처리와 직접 관련이 있다"며 "제가 넘어가지 않았으나 음으로, 양으로 굉장한 압력이 들어왔다"고 했다.

이어 "정치를 참여하게 된 것은 월성원전 사건과 무관하지 않고, 정부의 탈원전과도 무관치 않다"고 강조했다.

또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시도는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계기로 해 이뤄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윤 전 총장은 야권의 잠룡으로 떠오르는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 대해서도 "정치에 참여할지는 모르겠지만, 원장직을 관둔 것 역시 월성 원전 사건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날 주 교수는 윤 전 총장이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법을 무시하고 세계 일류 기술을 사장한 탈원전'이라고 지적한 데 대해 "아주 적합한 표현"이라고 띄웠다.

윤 전 총장은 이에 "우리 국민이 별로 그렇게 인식을 못하다가 점점 지나면서 이제는 많은 사람이 그렇게 인식하는 것 같다"고 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