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MF “美, 이르면 내년 말께 기준금리 올려야” [인더머니]
내년 초 테이퍼링 필요
지표 장기 목표치 상회
재정지출 확대…성장↑
IMF. 123RF

[헤럴드경제=이승환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이르면 내년 말에 기준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 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 정부의 지출 증가로 인플레이션이 장기 평균목표치를 웃돌고 있기 때문에 연준이 내년 말이나 2023년 초 기준금리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내년 상반기에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IMF는 이날 '협약 제4조(article IV consultations)'에 따라 연례협의를 개최하고 성명서를 통해 “통화정책이 경제에 강력한 지원을 계속 줄 것이란 확신에서부터 자산구매 축소와 통화정책 기조의 철회에 이르기까지 정책 전환을 관리하려면 일정이 촉박하다"며 ”능숙한 소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실제 연준이 인플레이션 목표치와 관련한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개인소비지출(PCE)의 경우 5월에 3.9%를 기록해 지난 2008년 이후 가장 높았다. IMF는 개인소비지출이 향후 4.3%까지 정점을 찍은 후 2.5%까지 하락하는 일시적인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 다만 이같은 IMF의 전망은 여전히 연준의 장기 인플레이션 평균목표치인 2%보다 높은 수준이다.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도 2023년 말까지 인플레이션 예상치를 상향시켰다. 올해 개인소비지출 전망치를 지난 3월 2.4%에서 3.4%로 올렸다. 2022년, 2023년 예상치 역시 각각 2.1%, 2.2%로 높였다.

아울러 IMF는 바이든 정부가 추진 중인 일자리 계획과 인프라 투자가 시행되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내총생산(GDP) 누적 성장률은 5.25%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IMF는 올해 미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 6.4%에서 7%로 상향했다. 이는 1984년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이다.

IMF는 "재정과 통화 지원이 코로나19 완화와 함께 향후 몇달 동안 경제활동에 활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nice@heraldcorp.com

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