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계속되는 ‘인사 참사’…부동산 검증 대상 확대 검토·김외숙 책임론도
LH 투기 논란 속 부동산 의혹 김기표 임명
인사 검증 시스템 재검토 불가피
김의겸·노영민·김조원·김상조 부동산 논란
김외숙 인사 수석 책임론도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부동산 투기의혹으로 3개월만에 경질되면서 청와대 ‘인사참사’가 재발했다. ‘부실검증’ 비판이 이어지자 청와대는 인사검증시스템을 재검토하겠다고 했다. 1가구 1주택이라는 기존 부동산 검증 기준에 다른 부동산 자산 보유여부가 추가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검증시스템을 재검토할 것”이라며 “아직 본격적인 검토에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1가구1주택인 기존 원칙에서, 상가와 오피스텔 등 다른 자산을 포함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비서관이 매입한 임야 등도 논란이 된 만큼 토지 매입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있다.

김 전 비서관은 65억 상당의 마곡동 상가 2채를 비롯, 91억2623만원의 부동산 자산을 신고했다. 특히 김 전 비서관은 56억2441만원의 은행 대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를 놓고서 마곡동 상가 매입을 위해 ‘영끌 대출’을 한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왔다. 투기 논란도 있었다. 김 전 비서관이 지난 2017년 매입한 경기도 광주 송정동 임야 2필지(각각 1448㎡, 130㎡, 4909만원 상당)는 맹지로, 송정지구 개발로 신축 중인 아파트·빌라 단지와 접해 있다.

김 전 비서관은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진 26일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성찰의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하지만 김 전 비서관은 의혹이 확산되자 다음날인 27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했다. 사표는 즉각 수리 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경질로 보면 된다”고 했다.

김 전 비서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투기의혹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한지 보름만인 지난 3월 31일 임명됐다. 청와대의 부실검증시스템으로 인사참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부동산에 대한 인사검증 실패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김의겸(현 열린민주당 의원) 전 청와대 대변인은 이른바 ‘관사 재태크’논란으로 물러났다. 참모들에게 집 1채를 제외하고 처분할 것을 지시한 노영민 실장은, 고가의 서울 반포아파트를 놔둔 채 지역구인 충북 청주 아파트는 팔아 ‘똘똘한 한 채’ 논란을 낳았다. 지난해 8월 퇴직한 김조원 전 민정수석은 2주택으로 논란이 됐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임대차 3법’ 시행 직전 자신의 청담동 아파트 전세 보증금을 14.1% 올려 문제가 됐다. 임대차 3법은 임대료 인상 폭을 5%로 제한하는 것이 골자다.

그동안 인사참사가 이어졌지만 주무 수석인 김외숙 청와대 인사수석은 책임에서 비켜갔다. 김 수석은 인사검증 부실 논란이 있을 때마다 교체대상으로 거론됐지만, 참모진 교체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당내 투기 의혹을 받은 의원들에 대해 탈당을 권유하는 등 부동산 투기로 등돌림 민심을 다잡는데 고심을 하는 만큼, 이번에는 여당에서도 김 수석을 교체해야 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백혜련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인사검증의 문제가 김외숙 인사수석 소관이기에 그것에 대한 총책임은 질 필요는 있어 보인다”라고 했다.

cook@heraldcorp.com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