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교부, 과학기술 특임대사 본격 검토…과학기술자문위 출범
과학기술·외교 융합 목소리 높아져
외교부, 다자외교국 인력 증원도 추진
외교부는 지난 25일 제주도에서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외교부 제공]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외교부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역량 강화를 위해 특임공관장직 개설을 포함해 전문가 파견인력 확대를 검토한다.

28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외교부는 과학기술 및 IT(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특임공관장직이나 과학기술분야를 전담으로 하는 대사직 신설 여부를 두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후변화를 비롯한 전략기술 분야에서의 외교역량이 중요해지면서 다자외교국 인력을 증원하고, 기술분야를 총괄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는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조직 정비에 대해서는 아직 방향이 잡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부가 과학기술분야와 외교를 융합하기 위한 제도 개편을 검토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첨단산업을 비롯한 기후규범이 새로운 ‘안보개념’으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앞서 미국 상원은 첨단기술분야에서의 정부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편이 담긴 ‘혁신경쟁법(Innovation and Competition Act 2021)’을 통과시켰다. 법안 통과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국무부 사이버 위협을 포함한 신흥 기술분야에서의 외교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이버 공간 안보‧신흥기술국’(CSET)을 신설하기도 했다.

과학기술‧IT분야 외교부서 신설에 대한 논의는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부응해 외교부는 지난 25일 과학기술외교자문위원회를 출범하고, ▷과학기술외교정책 ▷데이터‧정보통신‧인공지능 ▷우주 ▷탄소중립 4개 분과에 대한 정책방향을 논의하기로 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과 변재일 의원은 특임대사 신설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의원을 비롯한 13명 의원은 관련 내용이 반영한 ‘외무공무원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당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여건이 되면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이후 외교부는 41개 재외공간이 연구개발(R&D)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 거점 사업을 추진했다.

munjae@heraldcorp.com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