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빈과일보 폐간에 홍콩학자들 칼럼 절필…공포감 확산
"정치적 압박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홍콩인들이 빈과일보 마지막 호를 구매하는 장면.[AP]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한 빈과일보의 폐간이 홍콩 언론계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홍콩 학자들이 잇따라 신문 칼럼 절필에 나섰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언론사를 문 닫게 하고 기자들을 체포·기소하면서 언론계와 함께 학계에도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홍콩프리프레스(HKFP) 등에 따르면 홍콩 중문대 정치학자 이반 초이는 빈과일보가 폐간을 발표한 23일 15년간 이어온 신문 칼럼의 절필을 선언했다.

이반 초이는 2006년부터 홍콩 명보에 매주 2500자 분량의 정치 평론을 실어왔고, 그의 코멘트는 홍콩 언론에 자주 인용된다.

하지만 그는 23일 빈과일보의 수석 논설위원이 외세와 결탁 혐의로 체포된 데 이어 빈과일보가 폐간을 발표하자 바로 절필 선언을 했다.

초이는 "지난해 홍콩보안법 시행 후 특히 중국과 홍콩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을 쓰는 데 있어 정치적 압박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제 칼럼 집필을 그만둬야 할 때라고 느낀다고 토로했다.

지난해 6월 30일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할 수 있도록 한다.

SCMP는 "광범위한 내용의 홍콩보안법이 언론에 자유롭게 견해를 밝히고 정기적으로 칼럼을 게재해온 학자들에게 두려움을 안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많은 학자들은 어느날 자신들을 향해 홍콩보안법이 어떻게 활용될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려가 공유되고 있다고 말한다"고 덧붙였다.

홍콩보안법 9조와 10조는 '홍콩 정부는 국가안보를 위해 학교, 사회단체, 언론, 인터넷 등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이들에 대한 선전·지도·감독·관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홍콩 경찰은 포털 등이 제공하는 기사나 정보가 홍콩보안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할 경우 삭제를 요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등에서 소문을 퍼뜨리는 행위 등도 처벌할 수 있게 됐다.

학자들은 특히 '홍콩인들 사이에서 홍콩이나 중국 정부를 향해 증오를 부추기는 행위'에 대한 경고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