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성 정치 향한 경고와 변화 열망, 우리당까지 덮쳐온다”
“2030 표심, 이준석 따라 넘어갈라” 우려
“정당지지율 격차 더 벌어질 수도 있어”
與 내에서는 “청년 정치 만능 아냐” 반론도
이준석 국민의힘 신임 대표가 지난 13일 오전 따릉이를 타고 국회의사당역에서 국회로 첫 출근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사상 첫 30대 제1야당 대표의 탄생을 두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는 ‘대선 위기론’이 고개를 들었다. 전당대회 과정에서도 “이준석 효과가 내년 대선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했던 여당에서는 이 대표의 당선을 ‘기성 정치에 대한 경고’라고 판단하고 내년 대선 전략 수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14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의 당대표 당선을 두고 당내에서 ‘내년 대선까지 바람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강하다”라며 “기성 정치에 대한 2030의 불만은 지난 재보궐 이후부터 우리 당의 문제로 꾸준히 제기됐다. 이제는 그 사이 당이 쇄신하지 못해 민심이 국민의힘으로 쏠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로 바뀌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당내에서는 이 대표의 당선 후폭풍이 대선까지 이어질 것을 우려하는 발언이 쏟아지고 있다. 백혜련 민주당 의원은 “이준석 현상으로 대변되는 기성 정치인에 대한 경고와 변화에 대한 열망의 거대한 파도는 이제 우리 당을 덮쳐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근택 전 민주당 부대변인도 “본격적인 대선국면에 들어가면 모든 언론은 그의 입에 주목할 것”이라며 “지금도 정당지지율이 10% 가까이 차이가 나는데 더 격차가 벌어질 수도 있다. (민주당에) 그를 상대할 사람이 있을까”라고 언급했다.

대선을 앞두고 ‘기성 정치에 대한 경고’라는 판단을 내린 민주당은 출범을 준비 중인 당 대선기획단에 이동학 청년 최고위원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언급하는 등 ‘청년 민심 잡기’에 열중하는 모양새다.

이 대표에 맞서 기존의 중진 대신 젊은 정치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지만, 당내에서는 지나친 ‘청년 쏠림’ 현상에 대한 반발도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5선 중진인 이상민 의원은 “이준석 돌풍에 온통 세상 인심이 노장년들을 도매금 이나 식충 취급하며 몰아 세운다. 게다가 청년정치가 마치 만능해결사 또는 만병통치약인양 한껏 추켜 세운다”라며 “(노장년이) 오히려 변화와 쇄신을 혁명적으로 앞장 서 이끌어 시대를 개척하면 될 일”이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