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여름휴가 6월 3주부터 시작…휴가 분산·단체여행 자제 권고
휴일을 맞아 나들이객이 늘며 정체를 보이고 있는 고속도로 전경.[연합]

[헤럴드경제]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여름 휴가는 성수기(7월 말∼8월 초)를 피해 가족 단위 또는 소규모로 시기를 나눠갈 것을 권고했다.

이를 위해 공무원과 공공기관의 여름 휴가 시작 시점을 앞당기는 동시에 휴가 분산 사용에 동참하는 민간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3차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여름휴가 대책을 보고했다.

복지부는 우선 밀집지역과 시설 이용에 따른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동보다는 휴식 위주로 동선을 최소화하고, 2m(최소 1m) 거리두기를 지키며 다른 여행객과 섞이기보다는 동행자 중심으로 활동할 것을 권장했다.

특히 단체여행은 자제하되 소규모 패키지를 포함한 단체여행 시에는 방역관리자를 지정해 여행 중 증상확인·방역수칙 준수 여부 점검·관리 등 전반적 방역관리 책임을 수행하도록 했다.

또 마스크 착용을 철저히 준수하고 코로나19 증상이 있으면 즉시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하고 검사를 받도록 했다.

복지부는 여름휴가 시기 및 장소 분산을 위해서는 공무원과 공공기관의 여름휴가 가능 기간을 7월 첫째 주에서 이달 셋째 주로 2주 앞당겨 총 14주로 확대하고, 주 단위 최대 권장 휴가 사용률은 13%를 넘지 않도록 하며, 2회 이상 분산 사용하도록 권고했다.

100인 이상 일반 기업에 대해서도 휴가 분산을 요청하는 동시에 우수기업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휴가 분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여름휴가 장소 분산을 위해 빅데이터 기반으로 전국 주요 관광지와 휴양지별 혼잡도를 5단계로 나눠 예측 안내하고 안심여행지·한적한 관광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관광지 혼잡도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한민국구석구석' 누리집과 앱, 해양수산부의 바다여행 시스템 등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