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發 집밥 부활…돼지고기 마리당 수익 640%↑
통계청, 24일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 발표
한우 비육우 한 마리당 순수익도 흑자 전환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가정수요가 늘면서 당분간 강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사진은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진열된 돼지고기.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코로나19로 집밥 수요가 늘어나면서 돼지고기와 소고기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특히 돼지고기 판매가격이 오르면서 지난해 한 마리당 수익이 640% 넘게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가정에서의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0년 축산물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비육돈(돼지고기) 한 마리당 순수익은 2019년 6000원에서 크게 뛴 4만7000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집밥 수요가 증가했고, 재난지원금 소비도 국내에 집중되면서 돼지고기 판매 가격이 오른 것이 배경이라고 통계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돼지 110㎏당 산지 가격은 2019년 32만4000원에서 지난해 35만3000원으로 9.0% 상승했다.

같은 이유로 소고기 수익 역시 개선됐다. 2019년 7만6000원 순손실을 나타냈던 한우 비육우(소고기) 한 마리당 순수익은 거세우 값이 오르면서 지난해 5만8000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육우는 가격 상승으로 한 마리당 순손실이 57만4000원을 나타냈다. 전년(60만2000원 순손실)에 비해 적자 규모가 다소 줄었다.

송아지를 생산하는 한우 번식우의 수익성도 개선됐다. 지난해 한우 번식우 한 마리당 순수익은 51만8000원으로, 전년(30만3000원) 대비 70.8% 증가했다. 사육비가 0.8% 증가했지만 송아지 판매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이 배경이다.

젖소의 경우 지난해 마리당 266만1000원의 순수익을 기록해 전년(270만1000원)보다 1.5% 감소했다. 이는 사육비가 총수입보다 높게 상승한 것이 원인이라고 통계청은 밝혔다.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로 계란 공급량이 줄면서 산란계 수익성도 좋아졌다. 산란계 마리당 순수익은 2019년 1823원 적자에서 지난해 2590원 흑자로 전환됐다.

이는 계란 도매가격(특란 10개 기준)이 2019년 974원에서 지난해 AI 사태로 인해 1105원으로 13.4% 뛴 결과다.

다만, 육계(닭고기) 한 마리당 순수익은 판매가격 하락으로 전년(180원)보다 78.8% 떨어진 38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축산물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비용을 보면 새끼 산지가격 등 가축비, 사료비 상승 등으로 한우 비육우(5.5%), 육우(3.4%), 우유(2.4%)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송아지(-0.3%), 계란(-0.7%)은 생산성 향상으로, 육계(-0.1%), 비육돈(-2.6%)은 가축비 하락으로 생산비가 각각 줄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