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대통령-바이든 ‘북핵·반도체·백신’ 핵심 의제로... [내일 새벽 한미정상회담]
文대통령, 하원서 양국 가치동맹 강조
한반도비핵화·기후변화 美 지지 요청
백악관 대변인 “북한 논의 중심될 것”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미국 연방하원의원 지도부와 간담회에 참석해 환영의 박수를 받고 있다. [연합]

21일(현지시간)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는 결국 북핵과 백신수급, 반도체공급망, 대중정책 등 문제가 핵심 의제로 오르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 하루전에 열린 미 하원 지도부와의 간담회에서 신종코로나감염증바이러스 극복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을 위한 미 의회의 지지를 요청했다. 백악관은 북한 문제가 한미정상회담의 핵심의제가 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양국의 경제적 동반자 관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했다.

정만호 국민소통수석은 현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코로나 극복,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양국 간 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미 의회의 적극적인 지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이같은 요청은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로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백신과 반도체 수급문제를 코로나 극복과 글로벌공급망 재편으로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미국에서 생산되는 백신이 필요한 반면, 미국은 반도체 수급란 속 삼선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 자국 투자를 요청한 상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백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던 배경에 대해 “백신은 내일 행사가 집중되어 있다”고 했다.

특히 이날 간담회에서는 중국에 관한 얘기도 나오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중국 얘기가 나오지 않았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문 대통령과 하원 의원들이) 오늘 주고받은 얘기는 지금 공개한 정도”라고만 말했다. 이날 정만호 국민소통수석이 공개한 간담회 내용에는 문 대통령과 하원 의원들은 백신과 반도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한미동맹 중요성과 발전, 민주주의에 대해서만 주로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미국 의회는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인류 모두의 의회”라면서 “오늘날 대한민국이 경제와 문화에서, 그리고 방역에서도 발전된 나라가 된 것 역시 민주주의의 힘”이라고 강조했다. 또 “민주주의의 바탕에는 굳건한 한미동맹이 있었고, 한국이 어려울 때 언제나 함께해 준 미 의회의 신뢰와 지지가 큰 힘이 되었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이 민주주의와 한미동맹을 언급한 것은 이른바 ‘가치동맹’을 강조한 것으로, 정상회담 의제에 오르게 될 중국 문제를 염두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샤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갖고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 “우리는 물론 북한이 내일 논의의 중심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면서, 기후, 경제적 동반제 관계와 함께 “중국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미국과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이 참여하는 대중국 견제 협의체로 평가받는 ‘쿼드’(Quad)문제가 한미정상회담의 의제로 오를지는 불투명하다. 샤키 대변인은 바이든 대통령이 쿼드 참여 요청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쿼드는 네 개 회원국이 있고 너무 수학적으로 애기하려는 건 아니지만 이미 그것(4개 회원국)이 존재한다”라며, 다만 한국에 대해서는 “미국에 대단히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을 아꼈다. 샤키 대변인은 또 미국이 속한 다양한 국제기구가 있으며 한국도 일부라면서 “쿼드 멤버십의 변화에 대해 예측하거나 예상할 것은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공동취재단·서울=박병국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